동학의 창시자, 최제우 2011-04-07 150년 전 이 땅에 울린 휴머니즘 선언 지금으로부터 150여년 전, 이 땅에 '사람이 곧 하늘'이라는 인내천(人乃天) 사상이 퍼지며 반상이 엄연히 구분된 조선 ...
#Go! Go! 역사속으로 의료 선교사에서 만병수 개발자가 된 어을빈 2011-04-02 개항 이후, 조선 선교사들의 다양한 활동 기독교 선교사 중에는 한국 근대화와 떼려야 뗄 수 없을 만큼 크나큰 기여를 한 사람이 많았다. 선교사들은 기독교라는 종교를 선교한 ...
백제의 수도 '하남 위례성'은 어디 일까요? 2011-04-02 아마 많은 분들이, 고구려의 수도 국내성이 오늘날 중국의 지안이고, 신라의 수도 서라벌이 오늘날의 경주라는 것은 잘 아실텐데요, 그렇다면 백제의 수도 ‘하남위례성’은 ...
시대를 깨우다! 한말의 개화운동가, 유길준 2011-04-01 지구를 알자 지구촌이 하나로 이어진 지금은 ‘세계화’가 당연한 명제지만, 세계가 빠르게 발전하며 국력 증강을 위해 질주하던 19세기. 쇄국의 빗장을 걸어 잠그며 ...
#Go! Go! 역사속으로 한국에 초청된 최초의 서양인, 묄렌도르프 ② 2011-03-26 최초로 코리안 드림을 이룬 조선 관리 묄렌도르프 묄렌도르프의 코리안 드림은 그가 한국에 첫발을 내딛기 전부터 이루어졌다. 묄렌도르프가 조선 국왕의 고문 겸 해관장으로 ...
고구려의 명재상, 을파소 2011-03-25 삼고초려보다 앞선 등용 중국의 통일을 놓고, 위(魏) ·촉(蜀) ·오(吳) 3국이 자웅이 겨루던 3세기. 무너져 가는 한(漢)나라의 부흥을 위해 애를 쓴 촉나라의 ...
#Go! Go! 역사속으로 한국에 초청된 최초의 서양인, 묄렌도르프 ① 2011-03-19 한국에 초청된 최초의 서양인 현재는 외국에서 활동하는 한국인도 많고, 한국에서 활동하는 외국인도 많지만, 100년 전만 해도 한국에서 외국인을 본다거나 한국인이 ...
조선 후기의 지식인, 박지원! 새로운 길을 찾다 2011-03-18 문체반정의 대상이 되다 1792년 10월 19일, 정조는 중국에서 들어오는 명청소품(明淸小品)과 패관잡서(稗官雜書)에 대한 강경한 수입금지 조치를 내리고, ...
#Go! Go! 역사속으로 1930년대 보통사람의 고민은 무엇이었을까? - 3. 진로 문제 2011-03-12 신문에는 주로 사회적인 현상이나 특이한 사건, 범죄 등 보통 사람과는 다소 동떨어진 이야기가 실린다. 하지만 1930년대 신문들은 저마다 독자 고민 상담 코너를 운영했다. ...
님이 침묵하는 시대, 님을 부르다. 만해 한용운 2011-03-11 한용운과 그의 시대 한국의 3월은 외침으로 시작된다. 1919년 3월 1일. 나라를 빼앗긴 한민족은 일제의 식민통치에 항거해 독립선언서를 발표하며 한국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