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이슈

인수위, 탈원전 폐기 공식화

2022-04-13

뉴스

ⓒYONHAP News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12일 문재인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을 대대적으로 수정하겠다고 밝히며 탈원전 정책 폐기를 공식화했다.

인수위 측은 “국제사회에 약속한 탄소중립은 우리가 가야 할 길”이라며 새 정부는 정직하고 현실성과 책임이 있는 탄소중립 관련 계획을 다시 세워야 한다는 게 ‘잠정적’ 결론이라고 말했다.


‘기후·에너지팀의 잠정적 결론’

인수위는 12일 브리핑을 열어 현 정부의 탄소중립 시나리오 조정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탈원전 폐기를 사실상 못 박았다.

인수위는 현 정부 정책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오히려 늘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정책을 계속 추진할 경우, 전기요금이 크게 오르고 연평균 국내총생산이 감소하는 등 물가와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인수위 측은 경제에 대한 부정적 파급 효과와 민생 압박을 상쇄하기 위해 정책 조합의 대대적 수정이 불가피하다는 게 잠정 결론이라며 2주 내에 전략보고서를 작성, 보고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을 위한 탄소중립 전략보고서’란 명칭의 이 보고서는 5대 정책 방향을 담은 것으로 알려졌다. 

5대 정책 방향이란 △재생에너지와 원전의 조화 △녹색기술 발전 연구개발 체계 고도화 △탄소배출권 제3자 시장 참여 확대 △주요국과의 기후에너지동맹 △글로벌 협력체제 강화 등이다. 


탄소중립

현 정부는 지난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배출량을 배출 정점 2018년 대비 40% 감축한다는 내용의 감축목표를 확정했었다. 이를 위한 정책 조합으로는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확대, 친환경 에너지 중심으로의 에너지 구조 전환 등을 제시했다.

인수위 측은 현 정부의 계획에도 불구하고 탄소 배출량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인수위 원희룡 기획위원장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2021년에 4% 이상 늘었고 올해도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원전은 감소했지만 석탄발전이 소폭 증가하고 LNG 발전은 16% 급증해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년 대비 4.16% 늘어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는 것이다.

원 위원장은 현행 정책을 고수하는 경우, 전기요금은 크게 오르고 경제 성장률은 하락할 것이라고 밝혔다. 

2050 신재생 에너지 비중 70% 등의 목표를 계속 추진한다면 2050년까지 매년 4~6%의 전기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 인수위는 월평균 350kwh를 사용하는 4인 가구의 경우 현재 4만7천 원에서 2035년 7만8천∼10만 원까지 오른다는 추산을 제시했다. 

또 한국개발연구원(KDI)의 2021년 보고서를 인용, ‘2030년 온실가스 40% 감축·2050년 탄소중립 달성’ 시 2030년까지  매년 0.7%p, 2050년까지는 0.5%p의 GDP 감소가 전망됐다고 밝혔다.


전망

결국 탄소중립은 국제사회와의 약속이므로 지켜나가야 하지만, 국민 부담 가중과 경제 피해를 피해 나갈 수 있는 합리적인 정책 조정이 필요하고 그 중 하나가 탈원전 폐기라는 것이다. 인수위는 정부가 ‘기술중립’ 원칙을 깨고 탈원전을 전제한 정책을 폈다며 새 정부는 탈원전이란 금기를 해체, 탄소중립을 위한 모든 기술을 테이블에 올려놓고 책임 있는 정책을 펴겠다고 밝혔다.

결국 2030년 온실가스 40% 감축 목표를 수정하지 않는다면 이는 결국 원전 비중 확대를 의미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윤석열 정부는 우선 원전 건설 재개와 노후 원전의 계속 운전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