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이슈

IMF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과 생산자물가 급등

2022-04-21

뉴스

ⓒYONHAP News

국제 유가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 급등 영향으로 국내 생산자물가지수가 5년여 만에 최대 폭으로 올랐고, IMF는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내려잡았다.

우크라이나 전쟁 등 대내외 불안요인이 쉽게 가시지 않을 것으로 보여 물가 상승과 성장률 전망치 하향조정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IMF 성장률 하향 조정

IMF는 19일 ‘세계경제전망’를 발표하고,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6%로, 한국은 2.5%로 각각 제시했다. 지난 1월의 수정 전망치에서 다시 세계는 0.8%포인트, 한국은 0.5%포인트 하향 조정한 것이다.

현재 정부는 3.1%, 한국은행은 3.0% 성장을 전망하고 있어 IMF 전망치와는 차이가 많이 벌어졌다. 이외에도 OECD와 국제 투자은행 평균은 3.0%, 신용평가기관 피치와 무디스는 2.7%로 IMF 보다 높게 잡고 있고, S&P는 2.5%로 IMF와 같다.

그러나 한국의 전망치 하향 조정은 주요 선진국에 비하면 폭이 작은 편이다. 독일의 하향 조정폭은 1.7%포인트나 되고, 이탈리아 1.5%, 영국 1.0%, 일본 0.9%, 프랑스 0.6%포인트 등이다. 그러나 미국 0.3%포인트, 캐나다 0.2%포인트보다는 조정폭이 크다.

IMF는 올해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종전보다 0.9%포인트 올린 4.0%로 전망했다. 이는 2011년 이후 가장 높은 것이지만, 대다수 주요 선진국들에 비해서는 낮은 편이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종전 전망치와 같은 2.9%다.


생산자물가

현재 세계경제 현안은 인플레 우려이며, 한국도 마찬가지다. IMF가 이번에 발표한 전망치는 향후 경제성장률은 하향, 소비자물가지수는 상향 조정될 가능성이 크다.

실제 국내에서는 3월 생산자물가지수가 전월대비 1.3%나 올랐다. 이는 1년 전에 비해서는 8.8% 높은 수준으로, 16개월째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5년여만에 최대폭으로 오른는 것이다. 

생산자물가는 통상 2~3개월 후 소비자물가에 반영되는 선행지수다. 그러므로 3월 생산자 물가지수가 급등했다는 것은 최소한 2~3개월 이상 소비자물가 상승이 이어진다는 이야기다. 물론 생산자물가 상승이 계속될 전망이므로 소비자물가 오름세는 그 이상 지속될 것이 확실시된다.


의미와 전망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하향 조정됐지만, 주요 선진국에 비해서는 조정 폭이 크지 않고, 코로나 충격에 따른 기저효과를 제거한 2020∼2022년 3년간 평균 성장률도 높은 편이었다. 예컨대 G7 국가들과 비교하면 한국은 1.85%로 미국의 1.92% 다음이었다.

이는 지난해 코로나사태 이후 세계 주요국 중 가장 빠른 회복 속도를 보였듯이, 이번에도 그럴 것이란 의미라는 분석이다. 

그렇다고 해서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는 뜻은 아니다. 한국 경제는 대외 의존도가 높고, 현재 불안 요인은 국내에서 제어할 수 있는 성격의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유류세 인하폭을 30%로 높이고, 기간도 3개월 연장한 것은 서민경제에 숨통을 틔워줄 수 있지만, 금리 인상은 물가를 억제하는 효과는 있겠지만, 이자부담을 가중시킨다.

코로나19로 흔들린 세계 공급망에 우크라이나 사태가 겹치면서 빚어진 어려움은 상당기간 계속될 전망이다. 전쟁이 끝나도 제재 등의 문제가 하루아침에 해결될 일은 아니기 때문이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