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이슈

식량위기

2022-06-08

뉴스

ⓒYONHAP News

유엔 산하 기구인 세계식량계획(WFP)과 식량농업기구(FAO)가 세계 곳곳에서 식량 위기가 임박했다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 정부는 식품업계가 다양한 원료 수입선을 확보하고 이를 국내에 도입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WFP FAO 공동보고서

WFP와 FAO는 6일 공동보고서를 통해 가뭄과 같은 기후 충격, 코로나19 사태,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식량·에너지 가격 급등 등으로 식량 위기가 다가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데이비드 비즐리 WFP 사무총장은 식량 위기가 “‘가장 가난한 사람들’은 물론 그럭저럭 살아가던 수백만 가정마저 위협하고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페루 스리랑카 등의 식량위기는 ‘빙산의 일각’이라며 에티오피아 나이지리아 아프가니스탄 남수단 예멘 소말리아 등을 재난에 직면한 ‘최고 경계’ 지역으로 꼽았다. 

보고서는 또 우크라이나 전쟁이 상황을 악화시켰다며, 가뭄 홍수 등 기후 충격에 따른 식량생산 감소 경제불안 물가상승이 동시에 발생한 지역에서 특히 그 영향이 심각할 것으로 우려했다.

WFP는 또 기아 위기에 놓인 인구가 지난 4∼5년 동안 8천만 명에서 2억7천600만 명으로 크게 늘었다고 소개했다.


식량 보호무역주의

식량위기가 고조되면서 식량 보호무역주의 확산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로 인해 식량위기가 악화되는 것은 물론 무역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달 말 열린 세계경제포럼(WEF), 즉 다보스 포럼에서는 이같은 우려가 집중 제기됐다. 포럼에서는 식량위기와 관련된 보호무역주의 사례로 설탕과 팜유가 거론됐다.

최근 세계 최대 설탕생산국 인도의 수출 제한 조치로 국제 가격이 올랐고, 세계 팜유 생산의 60%를 차지하는 인도네시아가 한 달간 수출을 중단, 식용유 부족 파동이 일어난 바 있다.

이와 관련 기타 고피나트 IMF 수석부총재는 “지나간 문제보다 앞으로 올 문제가 훨씬 크다”며 식량 안보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특히 전체 식량 소비의 40%를 수입에 의존하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의 타격이 커지면서 각국 정부의 사재기를 부를 것이라고 관측했다. 그러면서 “식량·비료 수출을 제한하는 20여 개국은 이런 문제를 악화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국내 영향과 대책

현재 국내에서는 밀가루, 대두유 등의 수급에는 차질이 없지만, 수입 가격이 오르고 있어 업계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 실제 소비자들이 느끼는 부담도 크다. 1년 새 국수 가격이 30% 넘게 뛰었고 밀가루, 식용유 값 상승률도 20%가 넘는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밀가루 가격 상승분의 70%를 지원하는 밀가루 가격안정 지원사업과 함께 안정적인 원료구매를 위한 식품 외식종합자금 확대 등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또  대두유와 해바라기씨유 등의 5% 관세를 할당관세를 통해 인하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한국은 곡물 자급률이 20%를 조금 넘는 수준으로 매우 낮고, 그나마 쌀 편중이 심해, 쌀을 제외하면 3%에 불과하다. 쌀은 남아돌지만, 다른 곡물은 사실상 모두 수입에 의존하는 셈이다.

정부는 안보 차원에서 식량위기에 대처한다는 방침으로 공급 안정과 함께 장기적으로 자급률 향상을 추진하고 있다. 밀, 콩 등 주요 식량작물의 자급률 높이기 위해 품종 개량, 신품종 개발을 촉진하는 등으로 쌀에 편중된 자급구조를 개선한다는 것이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