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의 2일 신년 국정연설에서 가장 주목을 끌었던 주제는 개각과 청와대 진용개편 등 인사쇄신이었으나 구체적인 언급은 나오지 않았다.(2009.1.2)
원론적 언급
이 대통령은 연설에서 "경제 위기의 조기 극복을 위한 총력체제를 구축해야 한다"면서 "이런 의미에서 2009년 이명박 정부는 비상경제정부 체제로 나가고 이에 걸맞은 국정쇄신도 계속 단행해 나가겠다"는 원론적 입장을 밝혔다.
비상경제정부체제
◆비상경제정부체제의 의미
듣기에 따라서는 경제팀 개편의지로 볼 수도 있다.
이 대통령이 언급한 비상경제정부체제란 "매일 매일 경제 상황을 점검하고, 대책을 세우고 실천하는데 1분 1초도 소홀히 하지 않겠다"는 것.
인적 쇄신보다는 업무 행동 양식에 초점이 맞춰진 말이다.
◆지속적 국정쇄신의 의미
이명박 대통령의 인사스타일은 여론에 좌우돼 사람을 바꾸지 않는다는 것.
이 대통령의 발언을 직접 인용하면 "국면 전환을 위한 인사는 없다"는 것.
따라서 국정쇄신이란 말의 뜻도 용어의 원래의 뜻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전망
그렇다면 이 대통령의 언급은 "인적쇄신은 없다"는 뜻일까?
그렇지 만은 아닌 것 같다.
당장의 상황적 필요성에 휘둘리지는 않겠지만, 국정쇄신을 위한 큰 틀을 재정비한다는 차원에서의 청와대 및 내각 개편은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그렇다면 그 시기는 취임 1주년이 되는 2월25일께가 되지 않겠느냐는 게 중론.
여권 개편이 이뤄진다면 내각은 '탕평인사', 즉 이전 정권의 핵심인사도 중용할 수 있다는 것이고, 청와대는 이른바 '친정체제'를 강화하는 방식이 될 것이란 이야기가 나온다.
친정체제가 구축된다면 대선 승리의 일등 공신인 이재오 이방호 정종복 전 의원, 곽승준 전 청와대 국정기획수석, 박영준 전 청와대 기획조정비서관, 신재민 문화관광부 차관, 정두언 의원 등의 역할론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