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이슈

[대선] 문재인 제19대 대통령 당선

2017-05-10

뉴스

9일 치러진 제19대 대통령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당선됐다.
문 후보는 중앙선관위 당선 의결에 따라 10일 아침 대통령으로서의 직무를 시작했다.

개표는 9일 오후 8시 투표 종료 후 시작돼 10일 오전 7시경 마감됐다.
개표 마감 결과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1천342만3천800표로 지지율은 41.08%였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785만2천849표, 24.03%로 2위를 차지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 699만8천342표, 21.41%에 그쳤다.
이어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 220만8천771표를 얻어 6.76%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 201만7천458표, 6.17%였다.
나머지 후보들의 득표율은 모두 1% 미만이었다.

중앙선관위는 10일 오전8시 전체위원회의를 열어 문 후보를 대통령 당선인으로 결정했다.
이어 선관위는 당선인의 대리인인 안규백 더불어민주당 사무총장에게 당선증을 교부했다.
당선인의 임기는 선관위의 당선증 교부 즉시 개시됐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으로 대통령 궐위상태에서 조기 선거가 치러졌기 때문이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준비 과정 없이 새 대통령 직무가 시작된 것은 헌정사상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오전 8시10분 쯤 군 통수권 행사로 대통령으로서의 첫 업무를 시작했다.
문 대통령은 이순진 합참의장으로부터 북한의 동향을 보고받고, 철저한 대비를 당부했다.

이로써 지난해 최순실 사태로 시작돼 박근혜 전대통령 탄핵으로 이어진 정국 혼란은 끝났다.
대통령 궐위상황은 국회가 지난해 12월9일 대통령 탄핵소추를 의결함에 따라 시작됐다.
탄핵사유는 뇌물수수, 권한남용 등으로 헌법과 법률을 위배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대통령 직무는 황교안 국무총리가 대행하게 됐다.
이후 헌법재판소가 올 3월10일 파면 결정을 내림으로써 대통령 궐위가 확정됐다.
이어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5월9일을 선거일로 지정, 조기 대선이 시작됐다.

이번 선거에는 주요 정당의 후보 5인을 비롯 모두 15명이 출마, 사상 최다 후보가 나섰다.
초반 판세는 '기울어진 운동장'에 비유됐다.
박 전대통령 탄핵으로 보수 진영이 지리멸렬, 야권 후보들만 경쟁하는 형국이었기 때문이다.
문재인 후보는 30%대 후반의 지지율로 초반부터 줄곧 선두를 지켰다.
초반의 초점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의 거센 추격이었다.
안 후보 지지율은 당 공식 후보 선출 직후 수직 상승, 한때 오차범위 내까지 치고 올라갔다.
문 후보에 반감을 가진 보수 성향의 지지자들이 대안으로 안 후보를 지지한 것이다.
그러나 보수 진영의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가 변수로 떠올랐다.
홍 후보는 한 자릿수의 미미한 지지율에서 출발했으나, 보수 성향 유권자들을 결집해나갔다.
이에 따라 안 후보 지지율이 급격히 떨어지고, 홍 후보와 2위를 다투는 상황이 됐다.
5월3일 마지막으로 공표된 여론조사는 이른바 '1강2중' 판세를 보여줬다.
그리고 선거 결과는 문재인 당선, 홍준표 역전 2위로 나타났다.

문 대통령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친구이자 비서실장 출신으로 9년여만에 정권교체를 이뤘다.
그러나 난제가 산적해 있는 반면 정치 환경은 어려워 앞길은 험난하다는 지적이다.
여당이 된 더불어민주당 국회 의석 수는 120석으로 과반인 150석에 턱없이 모자란다.
국회선진화법에 따라 제1당이라도 단독으로는 법안을 처리할 수 없다.
따라서 야당들의 협조 없이는 주요 국정과제를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인 것이다.

문 대통령의 첫 과제는 국민통합이다.
득표율이 보여주듯 당선은 됐지만, 반대자가 거의 60%에 달한다.
당선 일성으로 통합 대통령이 되겠다고 밝혔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선거과정엣 첨예하게 대립했던 야당과 반대표를 던진 유권자들을 어떻게 포용할지 주목된다.

당장 시급한 것은 안보 문제다.
북핵·미사일 위협과 미국의 대북 압박, 중국의 사드 보복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문 대통령은 한미동맹에 기초, 미국과 중국, 북한을 설득해 문제를 풀겠다고 밝힌 바 있다.
북한에 대해서는 대결보다는 대화를 추구하는 편이다.

높아지는 보호무역주의의 파고를 넘고, 국내 경제의 회복세를 유지하는 것도 어려운 과제다.
미국은 한국산 제품 덤핑관세 부과 등으로 압박을 강화하고, 한미FTA 재검토도 예상된다.
중국의 사드 보복도 난제다.
문 대통령은 사드 배치에 대해서는 '차기 정부에서 결정'이라는 모호한 입장을 유지해왔다.
이와 함께 선거전에서 약속한대로 양질의 일자리를 만드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이 모든 난관을 뚫고 새 대한민국을 건설해내기 바라는 국민적 여망이 크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