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이슈

전력위기 초비상

2013-08-12

뉴스

전력위기 초비상
폭염이 계속되면서 12일 사상 최악의 전력난이 예상됐으나, 전력 당국의 총력전과 국민의 적극적인 절전 참여로 전력수급 경보가 ‘준비’ 단계에 머물렀다.
전력거래소 측은 “산업계와 일반 국민의 절전 참여가 상당하다”며 “절전만으로 200만kW에 가까운 전력이 확보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전력 경보 ‘관심’

전력거래소는 당초 이날 새벽 피크시간대인 오후 2∼3시 수요가 7천509만kW로 치솟고 예비력은 255만kW까지 떨어지면서 올여름 처음으로 ‘주의’ 경보가 발령될 것으로 예상했었다. 발전용량 50만kW의 당진화력발전소 3호기가 갑자기 가동이 정지됐기 때문이다.
여기에 20만kW급인 서천화력발전소 2호기도 돌발 정지됐다가 한 시간만인 오전 7시8분께 재가동됐지만, 한동안 10만kW 출력 밖에 내지 못했다.
전력거래소의 수급전망은 오전 10시 순간 예비력이 450만kW 밑으로 떨어지면서 ‘준비’ 경보가, 오전 10시에서 12시 사이에는 350만kW도 붕괴돼 ‘관심’ 경보가 각각 발령된다는 것이었다. 이어 점심시간인 낮 12∼1시에는 ‘준비’로 다시 내려갔다가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오후 1∼6시에는 올 여름 처음으로 ‘주의’ 경보가 발령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시간대 중 전력 수요가 늘어나면 다시 ‘경계’ 경보까지 발령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전력 수급 경보

1단계인 ‘준비’는 예비 전력이 400만∼500만kW일 때, 2단계인 ‘관심’은 300만∼400만kW일 때 각각 내려진다. 다음 단계인 ‘주의’는 200만 ~ 300만kW, ‘경계’는 100만 ~ 200만kW이며, 그 밑으로 떨어지면 최고 위기 경보인 ‘심각’이 발령된다.
만약 12일 수급경보 ‘경계’가 발령됐다면, 이는 2011년 ‘9·15 전력대란’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9.15 전력대란이란 예비력이 20만kW까지 떨어져 ‘심각’ 경보가 발령되면서 전국 동시 정전, 이른바 ‘블랙아웃’을 막기 위한 예고 없는 순회 정전으로 큰 혼란을 빚었던 것을 말한다.

대책

전력 위기 상황은 근본적으로는 정부의 전력 수급 전망과 발전소 건설 차질 등에 따른 것이지만, 당장은 폭염으로 인한 냉방 수요 급증과 발전소 고장 등에 기인한 것이다.
12일 전력 수급에서 ‘선전’한 것은 전력 당국의 예측에 따라 국민과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절전에 동참한 데에 힘입은 것이다. 전력거래소 측은 이날 오후 피크시간대에도 예비력이 440만kW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당초 160만kW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한 데 비하면 절전 만으로 200만kW에 육박하는 전력을 확보한 셈이다.
12일 큰 고비는 넘겼지만, 전력 수급 비상상황은 계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12일부터 14일까지 사흘간 공공기관의 냉방기와 공조기 가동을 전면 금지했다. 또 500㎾ 이상 비상발전기를 보유한 공공기관은 오후 2∼6시에 비상발전기를 최대한 가동하도록 했다.
민간부문에 대해서도 ‘문 열고 냉방영업’과 냉방온도 제한에 관한 합동점검을 강화하고 있다.
전력당국은 14일까지만 잘 넘기면 15일부터는 전력수급에 다소 여유가 생길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