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반도 A to Z

이슈

이산가족 상봉 행사 선발대 철수

주간 핫이슈2013-09-23
이산가족 상봉 행사 선발대 철수

금강산에서 열릴 예정이던 이산가족 상봉 준비를 위해 현지에 체류하며 행사를 준비하던 선발대와 시설점검 인력이 북측의 일방적인 상봉 연기 선언으로 22일 금강산에서 전원 철수했다.
한편 정부는 “북한의 일방적인 이산가족 상봉행사 연기는 그 어떤 설명과 변명으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비난했으며, 북측도 연일 대남 비난을 이어가는 등 남북관계도 경색되고 있다.

선발대 철수
선발대 13명과 금강산 현지에서 이산가족면회소 시설 등을 보수하던 시설점검 인력 등 75명은 22일 오후 2시 동해선 육로를 통해 군사분계선을 넘어 철수했다.
선발대를 이끌고 방북했던 대한적십자사 박극 과장은 귀환 뒤 기자들에게 “이산가족 행사 연기를 공식적으로 통보받기까지 북측 분위기는 평상시와 똑같았다”고 현지 분위기를 전했다.
박 과장은 전날 오후 북측으로부터 행사연기를 통보받았으며, “정치적으로 연기된 데 대해 강한 유감을 표시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 “북측 관계자들과의 만남은 아주 짧았다"며 "행사 준비는 거의 다 끝난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남북은 앞서 생사확인을 거쳐 확정된 이산가족 상봉자 명단을 교환했으며, 25일부터 30일까지 금강산에서 상봉행사를 진행할 예정이었다.

정부 입장
정부는 앞서 21일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일방적으로 연기한다고 발표한 것을 강하게 비난하면서 이산가족 상봉에 조속히 응해 나올 것을 요구했다.
정부는 이날 통일부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통해 북측의 일방적인 연기가 “이산가족과 국민 가슴에 대못을 박는 반인륜적 행위로 비난받아 마땅하다”고 비판했다.
성명은 “무엇보다 북측이 이산가족 상봉을 정치적 이유를 들어 연기시킨 것은 그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비난했다.
성명은 또 “북측이 애써 만든 합의를 깬 것은 다시 대결 상태로 몰아가는 행위이며, 이를 통해 북측이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는 것을 직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여야를 막론한 정치권은 물론 시민사회단체들도 한 목소리로 북한의 이산가족 상봉 행사 일방적 연기선언을 ‘반인륜적 행위’라며 규탄했다.
북한은 상봉 행사를 나흘 앞둔 21일 대남기구 조평통, 즉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대변인 성명을 통해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실무협상 등을 연기한다고 선언했다.
조평통 성명은 최근 남북관계 진척을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결과’, ‘원칙 있는 대북정책’의 결실이라고 하는 언론 보도 등을 그 이유로 들었다. 또 금강산관광을 북한의 ‘돈줄’이라고 표현한 것과 이석기 내란음모사건과 북한의 연계설도 문제 삼았다.

경색되는 남북관계
이산가족 상봉행사 연기를 둘러싸고 남북간에 상호 비난전이 이어지면서 남북관계는 당분간 경색을 면치 못할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북한의 이산가족 상봉 행사 연기는 금강산 관광 재개에 소극적인 정부를 압박하려는 의도라는 분석도 나온다. 그러나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무산되더라도 박근혜 대통령이 대북관계에서 기존의 ‘원칙론’을 바꾸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따라서 남북관계 경색의 돌파구를 찾기는 현재로서는 쉽지 않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