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미사일
2010
- 2016.11.30
안보리, 5차 핵실험에 대한 대북제재결의 2321호 채택 (석탄 수출 상한 도입 등)
- 2016.10.17
- 안보리, 무수단 중거리 미사일 발사 규탄하는 언론성명 발표
- 2016.10.15
평안북도 구성시 방현 비행장 인근에서 무수단 계열 미사일 1발 발사 직후 실패
- 2016.09.28
- 국방부,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 골프장으로 사드부지 재확정발표
- 2016.09.09
- 안보리, 9일 북한의 5차 핵실험 및 안보리 결의 중대 위반 강도높게 비난, 새로운 제재를 추진하겠다는 내용의 언론성명 채택
- 북 “핵탄두 표준화·규격화”주장
북한 제5차 핵실험 실시. 폭발위력 10kt 추정.
- 2016.09.06
- 안보리, 5일 북한의 ‘노동’ 추정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한 언론성명 채택
- 2016.09.05
- 황해북도 황주 일대서 노동 계열 추정 탄도미사일 3발 발사 1000km 비행(일본 방공식별구역 낙하)
- 2016.08.26
- 안보리, 24일 부한의 잠수함탄도미사일(SLBM) 발사에 대한 언론성명 채택
- 2016.08.24
- 함경남도 신포 해상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1발 발사 500km 비행 (일본 방공식별구역 낙하)
- 2016.08.03
- 황해남도 은율 일대서 노동미사일 2발 발사 1000km 비행 (일본 배타적 경제수역 낙하)
- 2016.07.19
- 황해북도 황주 일대서 노동미사일 2발 (500km), 스커드 계열 1발 동해상으로 발사
- 2016.07.13
- 국방부, 사드 배치 지역으로 경성북도 성주군 성주포대 발표
- 2016.07.09
- 함경남도 신포 일대 동해상에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MB) 1발 발사 공중폭발
- 2016.07.08
- 한·미 “주한 미군에 사드 (THAAD) 배치 결정” 공동발표문 공개
- 2016.06.29
- 김정은 국무위원장 추대, ‘유일영도체제’ 완성
- 2016.06.24
- 안보리, 22일 북한의 무수단 미사일 발사에 대해 15개 이사국의 동의를 거쳐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강력히 규탄하는 언론성명 채택.
- 2016.06.22
- 1발은 150km 비행 후 공중폭발, 1발은 400km 비행
- 강원도 원산 일대서 무수단 계열 중거리 미사일 2발 발사
- 2016.05.31
- 강원도 원산 일대서 무수단 계열 중거리 미사일 1발 발사 공중폭발
- 2016.04.28
- 강원도 원산 일대서 무수단 계열 중거리 미사일 2발 발사 공중폭발
- 2016.04.23
- 함경남도 신포 동해상에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MB) 발사 30km 비행
- 2016.04.15
- 동해안 지역에서 중거리 탄도미사일 무수단 발사 공중폭발
- 2016.04.01
- 함경남도 선덕 일대서 신형 단거리 지대공미사일 KN-06 3발 발사
- 2016.03.29
- 강원도 원산 일대서 300mm 방사포 KN-09 1발 발사
- 2016.03.21
- 함경남도 함흥 일대서 300mm 방사포 KN-09 5발 동해상으로 발사
- 2016.03.18
- 평안남도 숙천 일대서 노동계열 중거리 미사일 2발 발사 800km 비행
- 2016.03.10
- 황해북도 황주 일대서 스커드 계열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 동해상으로 발사
- 2016.03.09
북한, 핵탄두 모형 및 설계도 공개
- 2016.03.03
- KN-09(300mm 방사포 다연장 로켓) 6발 동해상으로 발사
- 2016.03.02
- 강력한 대북 제재 결의 2270호 만장일치 채택
- 안보리,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 발사에 대응.
- 2016.02.10
- 2016.02.07
국방부, 한·미 한반도 사드 (THAAD) 배치 공식 협의 시작 발표
평안북도 동창리서 장거리 로켓 (광명성 4호) 발사
- 2016.01.06
- 북한 제4차 핵실험. 조선중앙TV "첫 수소탄 시험 성공적 진행" 발표
- 2015.08.25
- 남북, '무박 4일'에 걸친 마라톤협상 끝에 극적 합의 도출.
- 2015.08.23
- 2015.08.22
-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홍용표 통일부 장관, 북측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김양건 노동당 대남비서와 판문점서 1차 고위급 접촉.
- 2015.08.20
- 경기도 연천서 北 서부전선 포격도발 사건 발생
- 2015.08.18
- 남측 개성공단관리위원회-북측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개성공단 최저임금 5% 인상 합의
- 2015.08.05
- 南, 이산가족 상봉·금강산 관광 등 논의 고위급 회담 제안…北, 관련 서한 수령 거부
- 2015.08.04
- 2015.07.16
- 2015.06.14
- 2015.05.22
- 2015.05.09
- 2015.05.01
- 정부, 민간·지자체 남북 교류 활성화 방안 발표
- 2015.04.27
- 정부, 5·24 조치 이후 첫 대북 비료지원 승인
- 2015.04.07
- 2015.04.03
- 2015.04.02
- KN 계열 미사일 1발 서해상으로 발사
- 정부, 개성공단 임금동결 공문 입주기업에 발송
- 2015.03.12
- SA 계열 지대공 미사일 7발 동해상으로 발사
- 2015.03.02
- 2015.02.24
- 北, 개성공단 최저임금 5.18% 인상 일방 통보
- 2015.02.08
- 2014.12.29
- 류길재 통일부 장관, 북측에 통일준비위원회 회담 제의
- 2014.10.15
- 南 류제승 국방부 정책실장-北 김영철 정찰총국장 군사당국자 접촉
- 2014.10.04
- 인천아시안게임 폐막식 계기 北 황병서·최룡해·김양건 방남
- 2014.09.24
- 박 대통령, 유엔총회 연설에서 북한 인권 문제 제기
- 2014.09.11
- 2014.09.06
- 2014.09.01
- 2014.08.28
- 2014.08.14
- 2014.08.11
- 2014.07.30
- 2014.07.26
- 2014.07.14
- 240㎜·122㎜ 방사포 및 해안포 100여 발 동해상으로 발사
- 2014.07.13
- 2014.07.09
- 2014.07.07
- 2014.07.02
- 2014.06.29
- 2014.06.26
- 2014.04.12
- 2014.03.28
- 박 대통령, 독일 드레스덴에서 평화통일기반 구축 위한 3대 제안발표
- 2014.03.26.
- 노동 계열 중거리 미사일 2발 동해상으로 발사
- 2014.03.23
- 2014.03.22
- 2014.03.16
- 2014.03.04
- 300㎜ 방사포 4발, 240㎜ 방사포 3발 동해상으로 발사
- 2014.03.03
- 2014.02.27
- 2014.02.21
- 2014.02.20 ~ 25
- 2014.02.12
- 남북고위급접촉 개최…이산가족 상봉·비방중상 중단 등 협의
- 2014.01.16
- 北 국방위 '중대제안' 발표, 상호 비방중상·군사적대행위 중단 제의
- 2014.01.06
- 박근혜 대통령 "통일은 대박" 기자회견…설 계기 이산가족 상봉 제안
- 2014.01.01
- 北 김정은, 신년사 발표 "남북관계 개선 분위기 마련" 촉구
- 2013.12.07
- 2013.12.03
- 국정원 "北 장성택 측근 2명 처형 및 장성택 실각 가능성" 공개
- 2013.11.21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13개 경제개발구·신의주 경제특구 설치 결정 발표
- 2013.09.21
- 北, 이산가족 상봉행사 나흘 앞두고 상봉행사 연기 발표
- 2013.09.16
- 2013.08.23
- 이산가족 상봉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 추석 이산가족 상봉 합의
- 2013.07.27
- 2013.07.25 ~ 28
- 2013.07.06 ~ 07
- 개성공단 1차 실무회담, 개성공단 재가동에 원칙적 합의
- 2013.06.26
- 2013.06.11
- 北, 우리측 수석대표 '급' 문제 삼아 남북당국회담 무산
- 2013.06.06
- 2013.05.22 ~ 24
- 최룡해, 김정은 특사 자격으로 방중, 시진핑 면담
- 2013.05.20
- 2013.05.19
- 2013.05.18
- 2013.04.08
- 北, 개성공단 가동 중단 및 북측 근로자 철수 선언
- 2013.04.02
- 2013.04.01
- 최고인민회의 제12기 7차 회의, 박봉주 내각총리 임명, 경제개발구 창설 추진 결정
- 2013.03.31
- 노동당 중앙위 전원회의 개최, 경제·핵무력 병진노선 채택
- 2013.03.15
- 2013.03.08
- 北 조평통 "3월 11일부터 남북 불가침 합의 전면 무효화, 판문점 남북 직통전화 단절" 통보
- 2013.03.07
-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 2094호 채택, 체제 범위 대폭 확대 북한 외무성 “핵 선제공격권 행사할 것” 성명
- 2013.02.12
북한, 3차 핵실험 강행
- 2013.02.10
- 동해상으로 KN 계열 미사일 추정 발사체 수발 발사
- 2013.02.03
- 김정은, 노동당 중앙군사위 확대회의서 "자주권 지키기 위한 중요한 결론" 발표
- 2013.01.26
- 김정은, 국가안전 및 대외부문 일꾼협의회 개최해 '국가적 중대조치' 결심
- 2013.01.24
- 북한 국방위원회 "장거리 로켓과 높은 수준의 핵실험은 미국 겨냥한 것"이라고 주장.
- 2013.01.22
-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결의 2087호 채택.
북한 외무성 "한반도 비핵화 종말, 물리적 대응조치 취할 것" 발표.
- 2012.12.12
- 북한, 동창리 발사장서 장거리 로켓 '은하 3호' 발사 성공.
- 2012.04.16
- 2012.04.13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발사장서 장거리 로켓 '은하 3호' 발사…실패로 판명
2000
- 2009.06.12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결의 1874호 채택.
북한 외무성 "새로 추출한 플루토늄을 전량 무기화, 우라늄 농축 착수" 발표.
- 2009.05.25
- 2009.05.08
- 북한 외무성 대변인, 대북 적대시정책을 취하는 미국과의 대화는 소용이 없다는 입장 발표
- 2009.04.29
- 북 외무성 성명, 핵시험 및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실험 경고
- 2009.04.25
- 북한 외무성 대변인, "영변 핵시설 폐연료봉 재처리작업 착수" 발표
- 2009.04.13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전체 공개회의, 북한 로켓발사 비난하는 의장성명 공식 채택 북한 외무성 성명, 6자회담 불참.핵시설 원상복구 방침 천명
- 2009.04.05
- 북한, 장거리 로켓 발사(북한은 인공위성 광명성 2호를 탑재한 로켓 은하2호라고 주장)
- 2009.03.24
- 북한 외무성 담화, 북한의 로켓 발사에 대한 "적대 행위"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이름으로 이뤄진다면 안보리가 "9.19공동성명을 부정하는 것"이고 "9.19공동성명이 파기되면 6자회담은 더 존재할 기초도 의의도 없어지게 된다고 경고.
- 2009.01.20
- 2008.12.08 ~ 11
- 6자 수석대표 회동..성과 없이 휴회, 검증의정서 채택 실패
- 2008.12.04 ~ 05
- 북미 6자 수석대표 싱가포르 회동. 검증의정서 문제 협의, 진전 없음
- 2008.10.11
- 2008.09.19
- 북한 외무성 대변인 "영변 핵시설 원상복구 중" 발표
- 2005.07.09
- 2005.06.30
- 리 근 북한 외무성 미국국장- 조셉 디트리니 미 대북협상 대사 비공식 접촉
홍석현 주미대사 ∙ 박길연 유엔주재 북한대사 회동
- 2005.06.23
- 남북, 서울 장관급회담에서 핵문제를 대화를 통한 평화적인 방법으로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 조치를 취하기로 합의
- 2005.06.22
- 2005.06.21
-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 “ 미 폭정의 전초기지”발언 유감 표명
- 2005.06.17
- 김정일 국방위원장, 평양 대동강 영빈관에서 정 통일장관과 면담, “7월 6자회담 복귀 의지 표명”
- 2005.06.11
- 한미정상회담, “북핵포기시 북한의 체제안정보장은 물론 긍정적으로 북미간 전향적 관계개선 추진키로” 합의.
- 2005.06.06
- 디트러니 미 국무부 대북협상대사/포스터 한국과장 - 뉴욕 유엔 주재 북한 대표부서 박길연 대사/한성렬 차석대사 접촉.
- 2005.05.31
- 부시 미 대통령 “북핵 외교 해결 시도” 노력 언급
- 2005.05.25
- 미, 북한지역에서의 미군유해발굴 작업 중단 발표
- 2005.05.16 ~ 18
- 남북차관급회담 개성서 개최, 장관급회담 개최등 합의
- 2005.05.13
- 디트러니 미 국무부 대북협상대사/포스터 한국과장 - 뉴욕 유엔 주재 북한 대표부서 박길연 대사/한성렬 차석대사 접촉.
- 2005.05.11
- 2005.05.08
- 한중정상, 러시아서 회담에서 북 6자회담 복귀 촉구
북 외무성, 주권국가 관련 의중 파악 위해 미측과 접촉 제의.
- 2005.04.25
- 북 외무성, 미국이 핵문제 유엔안보리 상정 시 선전포고 간주 공표.
- 2005.04.18
- 김 숙 북미국장, 북한 영변 5MW급 원자로 가동 중단 확인.
- 2005.04.04
- 강석주 북한 외무성 제1부상, 극비리 베이징 방문.
- 2005.03.23
- 북 조선중앙통신 통해 부시2기 정부가 성의를 보이고 행동해 6자회담 재개의 조건과 명분을 마련할 경우 참여하겠다”는 요지의 외무성 비망록 발표.
- 2005.03.02
- 북 조선중앙통신 통해 부시2기 정부가 성의를 보이고 행동해 6자회담 재개의 조건과 명분을 마련할 경우 참여하겠다”는 요지의 외무성 비망록 발표.
- 2005.02.10
- 북한 핵무기 보유 공식 선언 및 6자회담 참가 무기한 연기 선언
- 2004.06.
- 2004.02.
- 2003.08.
- 2003.04.
- 2002.12.
- 2002.11.
- 2002.10.
- 북한 핵무기 개발을 위한 HEU 프로그램 보유 시인
- 2001.
1990
- 1998.
북한 사정거리 1700Km~2200Km에 이르는 미사일 시험 발사
- 1994.
- 북한, IAEA 영변 핵시설에 대한 사찰 거부로 核 위기 시작
미국이 중유제공 및 2기 경수로 건설 지원하고, 北한은 核무기 개발 의혹 프로그램 동결
- 1992.
- 북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세이프 가드 협정 체결
1980
- 1989.
프랑스 상업위성에 의해 북 핵 활동 포착
- 1985.
- 북한, 핵 확산금지조약(NPT) 서명
미국, 북한 비밀 원자로 건설 주장
1970
- 1970.
2번째 원자로 취득
1960
- 1965.
영변에 구 소련 연구용 원자로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