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반도 A to Z

이슈

김정일 2주기

주간 핫이슈2013-12-18
김정일 2주기

장성택 처형 후 김정은 체제의 미래를 가늠할 수 있는 첫 ‘전시장’이라 할 수 있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2주기 추모행사가 17일 북한에서 열렸다.
관심을 모았던 이른바 ‘장성택 라인’ 인사들과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의 부인 이설주 등이 모습을 드러냈고, 예상대로 최룡해 군 총정치국장의 높아진 위상도 확인됐다.

김정일 2주기 추모대회
중앙추모대회는 17일 오전 평양체육관에서 열렸다.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은 추모사에서 김정은을 “단결의 유일중심, 영도의 유일중심으로 높이 모시고 충직하게 받드는 것”이 김정일을 계승하는 ‘근본담보’라고 강조했다.
또 최룡해 군 총정치국장은 결의 연설에서 군부는 “최고사령관 김정은 동지밖에는 그 누구도 모른다”며 오직 최고사령관만을 받들어 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로써 북한은 장성택의 숙청을 계기로 김정일 2주기 추모행사를 김정은에 대한 충성을 결집하기 위한 장(場)으로 만들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잘 보여줬다는 분석이다.
북한은 중앙추모대회에 이어 김일성․김정일 유해가 안치된 금수산태양궁전 참배행사도 진행했다.

권력의 핵심부
추모대회 주석단의 좌석 배치는 북한의 장성택 처형 후의 변화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권력지형도라는 점에서 관심을 모았다.
김정은 제1위원장 왼편에는 최룡해 인민군 총정치국장, 리영길 군총참모장, 장정남 인민무력부장 등이 앉았다. 오른편으로는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박봉주 내각 총리, 항일 빨치산 출신인 황순희 조선혁명박물관장 등이 자리했다.
최룡해는 지난해와 달리 김 제1위원장 바로 옆에 앉아 높아진 위상을 과시했다.
또 장성택 처형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 조연준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과 김원홍 국가안전보위부장도 주석단에 모습을 보였다.
‘장성택 라인’으로 알려진 로두철 내각 부총리, 김양건 당 비서, 문경덕 평양시 당 책임비서, 최부일 인민보안부장 등도 주석단에 모습을 드러내 일단은 신변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군부 원로인 김격식 전 인민무력부장과 김정각 김일성군사종합대학 총장, 리명수 전 인민보안부장 등은 작년과 달리 이번 행사 주석단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장성택의 부인이자 김정은의 고모인 김경희 당 비서는 중앙추모대회와 금수산태양궁전 참배에 모두 참석하지 않았다.
김정은의 부인인 리설주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금수산태양궁전 참배에만 동행했으며, 조선중앙TV가 이 모습을 공개했다. 리설주는 62일 만에 공식석상에 모습을 드러냈으며, 최근 그의 운명에 대한 여러 가지 설을 의식한 듯 팔짱을 끼는 등 다정한 모습을 과시하기도 했다.

분석
김정일 2주기 추모대회에 드러난 북한 권력 구도는 ‘완결판’이라고는 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최룡해와 장성택 처형의 주역들이 부상한 것은 두드러졌지만, 장성택 라인이 여전히 포진하고 있어 과도기적인 모습을 보인 것이다.
장성택 처형에 이은 김정일 2주기 추모행사로 김정은의 ‘홀로서기’가 시작된 셈이다. 그러나 “이것이 기회가 될지, 위기가 될지는 앞으로 좀 더 두고 봐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