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북핵 대응 '핵무장론' 솔솔···"위험한 발상"

북한의 5차 핵실험 이후 우리도 핵무장이나 미군의 전술핵 재배치 등을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여야를 가리지 않고 나오고 있습니다.
북핵 해결을 논의하기 위해 12일 열린 간담회에서 북핵에 대응해 평화를 지키기 위한 차원의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북한의 추가 도발을 막기 위해 미국의 전술핵과 핵잠수함을 한반도에 재배치 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앞서 이정현 대표는 북핵 실험과 관련해 훨씬 강도높은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며 핵 무장론을 시사했습니다.
야권 일각에서도 북핵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는 "국민의 불안감 해소를 위해 전술핵의 주한미군 재배치문제에 대한 검토"를 해야한다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핵 무장론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이 많습니다.
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도 "한미 동맹에 도움이 안되는 비이성적인 주장"이라고 일축했습니다.
다만 북한의 핵위협이 단순 협박이 아닌 실질적인 위협이 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자위적 차원의 핵무장론은 정치권의 논란이 될 전망입니다.
[Phot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