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A, "최소 12개국, 대북 외교·경제적 관계 변화"

미국 정부가 각국에 북한과의 외교관계 단절을 촉구한 가운데 최근 북한과의 외교·경제적 관계에서 실질적 변화를 보인 국가들이 최소 12개국에 달한다고 미국의소리 방송이 30일 보도했습니다.
방송은 "실제로 올해 초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전 세계 많은 나라가 외교적 조치를 통해 북한 압박에 나선 정황이 관측됐다"면서 "특히 미국과 한국의 고위 관리 등이 아프리카 등을 돌면서 펼친 적극적인 외교가 더해지면서 이런 분위기가 가속화됐다"고 분석했습니다.
방송은 이어 "외교적 혹은 경제적 조치를 통해 북한의 관계에 실질적 변화를 꾀한 나라는 최소 12개에 이른다"면서 몽골을 비롯해 베트남, 우간다, 앙골라 등 12개국을 거론했습니다.
몽골은 안보리 결의 이행차원으로 북한 선박 14척의 등록을 취소했고, 60여년간 북한과 외교관계를 맺고 있는 베트남은 제재 대상자인 북한 외교관을 사실상 추방하는 조치를 취했습니다.
아프리카 나라인 우간다는 북한군으로부터 제공받던 군사 훈련을 끊는 등 군사협력 분야를 단절했으며, 앙골라는 이례적으로 북한 외교관 등 북한 국적자 2명의 신상을 공개하면서 이들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의 우방국인 콩고민주공화국은 한국 정부 관계자와 만나 안보리 제재 결의에 대한 충실한 이행 의지를 표명했고, 남아공은 국방부 차원에서 북한과의 무기 거래 금지와 군사 분야 협력을 사실상 단절하는 조치를 취했다고 유엔에 제출한 이행보고서에서 확인했습니다.
지중해 국가 몰타는 북한 노동자들의 비자 연장을 중단하고 신규 비자 허가도 더 이상 내주지 않겠다고 밝혔고, 폴란드 외무부 역시 북한 노동자에 대한 비자 발급 중단 사실을 VOA에 확인했다고 방송은 전했습니다.
싱가포르는 북한을 비자 면제 대상국에서 제외하기로 했습니다.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북한의 핵 실험을 이유로 자국 내 북한 대사관을 폐쇄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파키스탄은 지난달부터 착륙 허가를 내주지 않는 방식으로 고려항공의 입항을 금지했고, 태국 정부가 각료회의를 통해 자국에 취항하던 고려항공 문제를 논의하자 고려항공 스스로 방콕 노선을 폐지하는 일도 있었습니다.
이밖에 라오스와 이집트 등 북한과 가까웠던 나라들이 유엔 안보리 산하 1718 대북 제재 위원회에 이행보고서를 제출한 사실과 브룬디와 코스타리카, 이라크 등 총 5개 나라가 사상 처음으로 이행보고서를 낸 점 등은 전 세계의 대북 압박 분위기가 이전보다 강화됐음을 나타내고 있다고 방송은 설명했습니다.
[Phot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