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탈북 막기 위해 '해외 근무자 가족동반 금지' 통계로 확인

북한 당국이 최근 몇 년 동안 해외체류자들의 탈북이 잇따르자 이를 막기 위해 해외 근무자의 가족 동반을 금지하는 것을 비롯해 해외 파견자를 대폭 줄인 사실이 통계를 통해 7일 확인됐습니다.
유럽연합, EU의 공식 통계기구인 유로스타트가 최근 내놓은 '비 EU 회원국 국민에 대한 거주증 발급 현황'에 따르면 작년에 EU 28개 회원국에서 3개월 이상 체류하는 거주증을 처음 발급받은 북한주민수는 모두 345명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EU가 이 같은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지난 2008년에 EU 회원국에서 거주증을 처음 발급 받은 북한 주민 748명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숫자입니다.
거주증 발급 사유를 보면 2008년엔 해외 근무자를 따라온 가족이 167명을 차지했으나 작년엔 27명에 그쳐 2008년의 16%에 불과했습니다.
EU에서 거주증을 발급받은 북한 주민수가 급감한 주된 원인이 해외 근무자의 가족 동반이 금지됐기 때문임을 뒷받침하는 대목입니다.
탈북사건이 잇따르자 북한 당국이 해외 파견시 가족 동행을 금지해 가족을 볼모로 삼음으로써 해외파견자의 탈북을 막고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습니다.
특히 북한 고위 외교관이 한국으로 망명한 영국의 경우 , 지난 2008년 북한 주민 294명이 거주증을 발급받았으나 2013년엔 28명, 2014년엔 18명, 작년의 경우 단 한 명만 거주증을 받았습니다.
[Phot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