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반도 A to Z

주요뉴스

"종교활동 하다 정치범수용소행 북한 주민 많아"

뉴스2016-11-10

북한에서 종교활동으로 인해 정치범 수용소행 처벌을 받는 주민들이 많다는 민간단체의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북한 인권실태를 조사해온 북한인권정보센터 부설 '북한인권기록보존소'는 10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6 북한 종교자유 백서'를 발간했습니다.

이 단체는 2007년 이후 한국에 입국한 탈북민 1만 1,7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51.8%가 북한에서 종교활동을 할 경우 정치범 수용소행 처벌을 받는다고 밝혔습니다.

정치범 수용소행보다 낮은 수준의 처벌인 노동단련형이나 교화소행에 처해진다고 답한 비율은 각각 2.8%와 11.4%에 그쳤습니다.

또 이 단체가 별도로 수집한 1990년대 이후 북한 인권침해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한 결과, 종교 박해에 해당하는 사건 1,247건 가운데 구금이 739건(59.3%)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밖에 이동의 제한 133건(10.7%), 사망 113건(9.1%), 실종 82건(6.6%), 상해 44건(3.5%), 추방 및 강제이송 43건(3.4%) 등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이 단체는 "북한에서 종교활동에 대한 처벌 수준이 매우 높다"며 종교활동으로 적발된 사람의 경우 조사 과정에서 일어나는 인권침해도 비교적 심각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은 헌법에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으나, 종교가 외부 세력을 끌어들이거나 국가 및 사회 질서를 해치는 구실이 돼선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앞서 미국 국무부는 지난 8월 발표한 '2015 국제 종교자유 연례보고서'에서 최대 12만 명에 이르는 북한 내 정치범 가운데 종교적 이유로 수감된 경우도 적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Photo :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