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활동 하다 정치범수용소행 북한 주민 많아"
북한에서 종교활동으로 인해 정치범 수용소행 처벌을 받는 주민들이 많다는 민간단체의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북한 인권실태를 조사해온 북한인권정보센터 부설 '북한인권기록보존소'는 10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6 북한 종교자유 백서'를 발간했습니다.
이 단체는 2007년 이후 한국에 입국한 탈북민 1만 1,7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51.8%가 북한에서 종교활동을 할 경우 정치범 수용소행 처벌을 받는다고 밝혔습니다.
정치범 수용소행보다 낮은 수준의 처벌인 노동단련형이나 교화소행에 처해진다고 답한 비율은 각각 2.8%와 11.4%에 그쳤습니다.
또 이 단체가 별도로 수집한 1990년대 이후 북한 인권침해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한 결과, 종교 박해에 해당하는 사건 1,247건 가운데 구금이 739건(59.3%)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밖에 이동의 제한 133건(10.7%), 사망 113건(9.1%), 실종 82건(6.6%), 상해 44건(3.5%), 추방 및 강제이송 43건(3.4%) 등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이 단체는 "북한에서 종교활동에 대한 처벌 수준이 매우 높다"며 종교활동으로 적발된 사람의 경우 조사 과정에서 일어나는 인권침해도 비교적 심각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은 헌법에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으나, 종교가 외부 세력을 끌어들이거나 국가 및 사회 질서를 해치는 구실이 돼선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앞서 미국 국무부는 지난 8월 발표한 '2015 국제 종교자유 연례보고서'에서 최대 12만 명에 이르는 북한 내 정치범 가운데 종교적 이유로 수감된 경우도 적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Photo : ]
최신뉴스

북한 당대회 4일 개최 가능성 주목...분위기 띄우기 매진
뉴스 ㅣ 2021-01-03

북한, 초특급 방역 속 새해맞이 불꽃놀이 행사 진행
뉴스 ㅣ 2021-01-01

북한 김정은, 새해 맞아 주민에 친필서한…금수산태양궁전 참배
뉴스 ㅣ 2021-01-01

북한, 당 대회 앞둔 '80일 전투' 마무리
뉴스 ㅣ 2020-12-30

한국행 탈북민 5명, 지난 9월 중국 공안에 체포돼 송환 위기
뉴스 ㅣ 2020-12-30

"북한 식량사정, 추정보다 좋을수도…고기·생선섭취증가 고려해야"
뉴스 ㅣ 2020-12-30

김정은, 당 정치국 회의 주재…"8차 당대회 1월 초순 개회"
뉴스 ㅣ 2020-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