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북한인권협의체 회의···미국 "트럼프 정부도 북한 인권 공조 예상"

한국과 미국이 14일 서울에서 북한인권협의체 회의를 열어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공조 강화 의지를 재확인했습니다.
외교부는 회의 후 발표한 자료에서 로버트 킹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가 "북한인권은 미국 내에서 당파를 초월한 초당적 이슈로서 내년 미국 행정부 교체에도 불구하고 미 의회가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킹 특사는 이어 "미국 트럼프 행정부도 북한인권 관련 양국간 긴밀한 공조를 위해 노력해나갈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한미 북한인권협의체를 통해 양국간 협력이 더욱 제도화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한미 북한인권협의체 회의는 지난달 4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첫 회의에 이은 두 번째 회의로, 우리측에서는 김용현 외교부 평화외교기획단장이, 미측에서는 킹 특사가 수석대표로 참석했습니다.
한미 양측은 이번 회의에서 북한 인권문제를 국제사회에서 공론화하는 방안과 북한인권 책임성 규명 강화 방안과 함께 북한 해외노동자 인권문제와 관련한 양국 공조 강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14일 한미 북한인권협의체를 시작으로 이번 주에는 북한 인권 관련 논의가 집중됩니다.
15일에는 미국, 일본,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유럽연합 등의 주한대사들이 모여 북한 인권실태를 공유하고 실질적 개선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간담회가 서울에서 열리고 유엔총회 산하 제3위원회는 16일 새벽 북한인권결의안을 표결로 채택할 예정입니다.
또 16일에는 지난 7월 마르주키 다루스만의 후임으로 임명된 토마스 오헤아 킨타나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이 처음으로 방한합니다.
[Phot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