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함경북도 수해지역 새 살림집 입주식 개최···김정은 참석 안 해

북한이 함경북도에 수해로 파괴된 살림집 1만1천900여 세대를 위한 새 주택을 건설해 이틀간 입주식을 진행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입주식에 김정은은 참석하지 않은채 최룡해 등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 9명 등 당 고위 간부들만 참석했습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혹심한 재난의 파도가 휩쓸었던 조선의 북변 땅에 1만1천900여 세대의 살림집들이 불과 2개월 만에 일떠섰다"면서 "북부 피해 지역 인민들의 살림집 입사 모임들이 19일과 20일 현지에서 각각 진행됐다"고 21일 보도했습니다.
이 자리에는 최룡해·김기남·최태복·리수용·김평해·리만건·오수용·곽범기·김영철 등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9명 전원, 전승훈 함경북도 당위원장, 리상관 도 인민위원장 등이 참석했다고 중앙통신은 전했습니다.
다만, 지난해 8월 대규모 수해가 발생한 나선시를 두차례나 찾아갔던 김정은은 이번에도 함경북도 수해지역을 방문하지 않았습니다.
통신은 당 중앙위 부위원장들이 축하연설을 했으며, 연설이 끝난 뒤 피해 지역 주민들에게 살림집 이용증서가 수여됐다고 밝혔습니다.
이후 당 중앙위 부위원장들은 회령시와 무산·연사·온성·경원·경흥군의 새 살림집에 입주한 가정들을 방문했습니다.
또, 이들은 방문 기념으로 가져온 생활용품을 주민들에게 넘겨줬다고 통신은 전했습니다.
앞서, 북한은 노동당 중앙위 명의로 지난 13일 함경북도 수해복구에 나선 군 장병과 주민들에게 보내는 감사문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해, 통일부 정준희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북한과 유엔이 공동으로 발표한 자료를 보면, 완파된 1만 5천여 세대를 포함해 3만 7천 700여 세대가 (함경북도 수해로) 피해를 봤다"며 "(복구 세대의 규모가 피해 규모에) 훨씬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말했습니다.
또, 정 대변인은 김정은이 방문하지 않은 데 대해서는 "(과거 수해를 입은) 나선지역 같은 경우는 비교적 작은 지역이고, 거기에 또 복구도 빠르고, 또 실적을 내기도 수월한 측면이 있었다"며 "그렇지만 이번 경우에는 복구 지역이 조금 넓고, 그것도 완료되지도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김정은이 직접 나서기에는 조금 부담스러웠다고 본다"고 덧붙였습니다.
[Phot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