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반도 A to Z

주요뉴스

탈북민 79% "북한 해외공관원 탈북, 체제붕괴에 영향 줄 것"

뉴스2016-12-05
탈북민 79% "북한 해외공관원 탈북, 체제붕괴에 영향 줄 것"

국내에 정착한 탈북민 10명 가운데 8명은 태영호 주영 공사를 포함한 해외공관원의 탈북 행렬이 북한체제 붕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탈북민 단체인 NK 지식인연대는 5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개최 예정인 '400명 탈북민 대북 및 통일정책 설문조사 결과 언론 설명회'의 사전 배포 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습니다.

'북한 해외공관원들의 탈북이 체제 붕괴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라는 습니질문에 대해, 응답자 314명(78.5%)이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반면, '영향이 없다'는 응답자는 81명(20.2%)에 불과했다.

응답자들은 북한 핵심간부들의 탈북을 유도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인과 자녀의 취업 등 진로보장(40.5%), 고급정보 제공 시 보상금 지급(27.3%), 북한에서의 범죄행위 처벌 면제(15%), 통일 후 고위직 보장(8%) 등을 꼽았습니다.

또 '개성공단(2월 폐쇄)을 떠올리면 생각나는 것'에 대해 과반수가 '북한의 외화벌이 수단'(57%)이라고 답했습니다.

'통일경제 발전에 기여'(18.5%)와 '남북 경제협력 창구'(16.8%), '남한경제발전에 기여'(3%) 등 응답이 뒤를 이었습니다.

개성공단 중단에 대해 '잘했다'(54.4%)는 응답이 절반을 넘었고, 북핵 도발에 대응한 남한의 핵무장에 대해 89%가 지지 의사를 표명했습니다.

북한에 있는 가족들에게 송금한 경험이 있는지를 질문한 조항에 대해 '있다'(51.7%)는 응답이 '없다'(31%)는 응답보다 많았습니다.

송금 액수를 살펴보면, 연평균 1천 달러(116만 원)를 송금한 경우(47.8%)가 가장 많았고, 2천 달러(26.5%)와 3천 달러(14.2%), 4천 달러(7%)가 뒤를 이었습니다.

북한 가족들에게 송금된 자금은 생계비(67%)와 장사 밑천(20.8%), 주택구매(4%), 탈북자금(4.2%) 등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응답자들은 추정했습니다.

응답자들은 남북관계 경색에 대한 책임 소재를 묻자, 북한(53%)과 미국(22%), 중국(16%), 남한(6%) 순으로 답했습니다.

향후 남북관계에 대해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예상(62%)이,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예상(40%)보다 우세했습니다.

이번 설문조사는 NK 지식인연대가 지난 10월 13일부터 지난달 8일까지 국내에 거주하는 탈북민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습니다.

[Photo :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