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 석탄 수입 중단으로 중국 동북지방 타격 불가피"

북한의 5차 핵실험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새 대북 제재 결의 2321호로 중국이 북한산 석탄 수입을 한시적으로 중지하면서, 중국 동북지방에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중국의 관영매체가 보도했습니다.
앞서 중국 상무부와 해관총서는 유엔 안보리 결의 2321호 시행을 위해 지난 11일부터 이달 31일까지 북한산 석탄 수입을 잠정 중단한다고 공동 발표한 바 있습니다.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13일 "업계 분석가들은 북한산 석탄에 대한 수입 중단 조치가 석탄 산업 전체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겠지만, 동북3성의 석탄시장에는 타격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고 전했습니다.
상하이에서 활동하는 장즈빈 산업 애널리스트는 "중국 산둥·장쑤 성을 비롯해 특히 랴오닝·지린 성의 기업들이 낮은 가격과 운송의 편리성 때문에 북한산 석탄을 많이 수입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올해 상반기 중국산 석탄 가격은 t당 800위안(약 13만5천 원) 정도였는데 비해 북한산은 t당 약 700위안(약 11만8천 원)이었고, 북한에서 동북지방까지 화물선 운송비가 t당 70위안(약 1만1천800 원)인데 비해 산시 성의 석탄을 동북지방으로 운송하려면 t당 300위안(약 5만 원)이 더 든다"고 설명했습니다.
뤼차오 랴오닝사회과학원 한반도연구센터 연구원은 "북한산 석탄을 수입하는 중국 동부 저장·장쑤 성의 소규모 업체들 입장에선 수입 중단 조치로 석탄 수급에 차질을 빚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산둥성 르자오 항에 기반을 둔 한 무역업자도 "회사의 북한산 석탄 재고가 다 떨어져 당분간 사업을 중단할 수밖에 없다"고 털어놨습니다.
중국 해관총서는 지난 10월 북한산 석탄 수입량이 지난해보다 40% 가까이 급등했다고 전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중국산 석탄 가격이 상대적으로 더 비싼 데다 겨울철 난방 수요로 석탄 수입이 늘었다고 분석했습니다.
장 애널리스트는 "10월 중국산 석탄의 가격이 연초에 비해 거의 100% 치솟는 사이 북한산 석탄 가격은 안정적이었기 때문에 많은 무역업자들이 수입량을 늘렸다"고 말했습니다.
[Phot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