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안보전략연구원 "내년 상반기 제3차 북핵위기 조성 가능성"

내년 상반기에 북한이 제6차 핵실험 등 고강도 도발을 감행하고 미국 새 행정부가 강력히 대응함으로써 '제3차 북핵 위기'가 조성될 수 있다고 국책연구기관이 전망했습니다.
국정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21일 배포한 '2017년 북한 및 안보정세 전망 보고서'를 통해 "북한은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하는 2017년 제6차 핵실험과 탄도 미사일 발사시험을 통해 핵무기 실전배치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원은 또 "상반기 북한의 6차 핵실험 및 장거리 미사일 시험발사 등 도발에 따른 '대결의 증폭'으로 남북관계는 '시계 제로' 상태에 놓이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습니다.
그러면서 연구원은 북한의 제 6차 핵실험 및 미사일 발사 시점에 언급, 김정은 생일(1월8일)과 트럼프 행정부 출범일(1월20일), 김정일 출생 75주년(2월16일), 김일성 출생 105주년(4월15일) 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북한 도발시 트럼프 행정부는 대 중국 압력 강화 및 '선제타격론' 제기 등 대북 압박외교를 전개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미북간 '강대강' 대립구도를 형성, 한반도 긴장이 급격히 고조되고 '제3차 북핵 위기'가 조성될 가능성 이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아울러, "하반기 김정은 정권은 '북미 대화' 추진 환경 조성을 위해 남북대화 제안 등 '위장 평화공세'를 전개하는 한편, 미북대화가 여의치 않을 경우 충격요법식 대남도발을 병행하는 '화전양면 전술'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밖에도, 내년 남한 대선 등 정치 일정을 활용해 북한이 국가 기간망과 공공시설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테러 등 다양한 형태의 테러를 감행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됐습니다.
특히 북한이 경제난 극복을 위해 자금 절취 목적으로 국내외 금융 전산망에 침투하는 등 대남 사이버 공격을 대폭 강화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한편, 연구원은 김정은이 공포통치를 통해 충성을 강요하고 있다며 국가보위성을 내세워 김용진 부총리 등 고위 인물 수십 명을 처형하는 등 김정은 집권 이후 140여 명의 당정군 간부들이 처형됐다고 밝혔습니다.
또, 김정은이 앞으로 고위급 인물에 대한 '정치 속죄양'식 처형을 확대해 "권력층 내 '2인자는 없다'는 경고 메시지를 전파하고, 충성 경쟁을 유도할 것"이라며 "김정은 시대 급부상한 김원홍 국가안전보위부장 등 핵심들도 '제2의 장성택'이 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연구원은 내다봤습니다.
[Phot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