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행 부인 수법 보니···천안함 판박이

김정남 피살과 관련한 북한의 궤변과 억지주장은 천안함 폭침 등 과거 도발 때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북한은 궁지에 몰리자 말레이시아에 공동조사를 요구하고 나왔습니다.
공동조사를 제의해 물타기하려는 시도는 7년전 천안함 폭침 때의 판박입니다.
당시에도 북한의 어뢰파편 등 결정적인 물증이 나오자 북한은 국방위원회 검열단을 남한에 파견한다며 공동조사를 요구했습니다.
2014년 북한 무인기 사건 때도 한미공동조사단의 발표를 부인하며 역시 공동조사를 제안했습니다.
처음엔 부인하고 음모론을 제기한 뒤 증거가 나오면 공동조사를 제안하고 거부되면 협박하며 끝까지 부인하는 수법은 북한의 전형적인 시나리오입니다.
북한은 또 과거 일본인 납치 사건의 경우처럼 범죄를 시인하더라도 김정은의 지시가 아닌 일부 간부들의 충성경쟁으로 몰아 꼬리 자르기를 시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Phot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