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반도 A to Z

주요뉴스

북한, 김정남 암살후 고립심화···여행자제령 확산·외화벌이 타격

뉴스2017-03-23
북한, 김정남 암살후 고립심화···여행자제령 확산·외화벌이 타격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도발과 김정남 암살사건 등에 따라 북한의 고립이 심화하고 있습니다.

싱가포르 외무부는 지난 17일 자국민에게 방북 계획이 있는 경우 이를 재검토하라고 권고했습니다.

싱가포르는 북한에 외교 대표를 두고 있지 않기 때문에 영사 지원도 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김정남 암살사건 처리를 둘러싸고 북한과 갈등을 겪고 있는 말레이시아도 지난달 23일 나즈리 압둘 아지즈 말레이 문화관광부 장관이 직접 북한을 예측할 수 없는 국가로 지목하면서 자국민에게 북한에 가질 말 것을 권고했습니다.

호주 외교부 역시 지난 9일 홈페이지에 게시한 '북한 여행 지침'을 통해 자국민에게 북한 여행 재고를 권고했습니다.

특히 호주 정부는 북한이 외국인에게 가하는 제약, 여행자들에게 적용되는 북한의 법률과 규정, 국제사회에 대한 북한의 위협 등을 거론했고, 북한에서 외국인 관광객이 일시적 또는 장기간 억류된 일도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밖에 미국은 지난 14일 마크 토너 국무부 대변인대행이 북한에 대학생 오토 프레드릭 웜비어 석방을 요구하면서 재차 북한 여행 자제를 당부했고, 영국도 북한의 말레이시아인 출국 금지 조치를 예로 들면서 북한 여행 시 안전상황을 주시할 것을 권했습니다.

북한의 주요 외화벌이 수단인 북한식당 등의 영업도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 북부 끌라빠가딩에 있는 북한식당인 '평양식당'은 지난 20일부로 영업을 중단했으며, 종업원들은 모두 북한으로 돌아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태국 수도 방콕 시내에 있는 북한식당도 최근 손님이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경영난을 겪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북한이 국제사회의 제재를 피하기 위해 현지합작 등을 통해 설립한 사업체들도 김정남 암살사건 이후 각국 정부의 집중감시 대상이 됐습니다.

말레이시아 당국은 북한 정찰총국과 연계된 것으로 파악된 군사장비 업체 '인터내셔널 글로벌 시스템'과 '인터내셔널 골든 서비시스' 등의 등록을 말소했고, 유사한 사례가 있는지도 조사하고 있습니다.

싱가포르는 최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제출한 대북제재 결의 2321호 이행 보고서에서 "북한이 제재를 피하고자 '위장회사'를 활용하거나 싱가포르 회사와 사업 협력을 할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통화청이 모든 금융기관에 이에 관한 주의령을 내렸다"고 밝혔습니다.

[Photo :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