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롱·푸틴, 북한 핵문제 공조키로…시리아 문제 등 견해차 재확인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시리아 내전과 우크라이나 사태 등에 대해 담판을 벌였습니다.
두 사람이 북한 핵 문제와 대테러 공조강화, 체첸공화국의 동성애자 탄압 문제 등 의견일치를 본 부분도 있었지만, 우크라이나 문제와 시리아 정권의 성격 규정 등 입장이 첨예하게 갈리는 문제들에선 기존의 주장을 재확인하는 선에서 첫 만남을 마무리했습니다.
마크롱 대통령은 현지시간 29일 시리아의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이 화학무기를 사용하면 프랑스가 즉각적인 대응에 나서겠다고 경고하면서 포문을 열었습니다.
마크롱은 29일 파리 외곽의 베르사유 궁에서 푸틴과 양자 정상회담을 마친 뒤 공동기자회견에서 "누가 화학무기를 사용하든 간에 그런 사실이 확인되면 프랑스는 즉각 대응에 나서겠다"면서 화학무기 사용이 마지노선이라고 언급했습니다.
마크롱과 푸틴은 시리아 문제를 비롯해 이슬람국가 등 극단주의 테러세력에 대항해 프랑스와 러시아의 협력 강화를 실무 차원에서 계속 논의하기로 했습니다.
시리아의 알아사드 정권을 비호해온 러시아의 푸틴은 그러나 마크롱과 인식 차를 드러냈습니다.
그는 시리아 내 이슬람국가 등 테러집단에 대처하려면 정부를 확고하게 세워야 한다면서 알아사드 정권의 배후를 자처해온 기존 러시아 정부의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한편 마크롱은 러시아·우크라이나·독일·프랑스 4자회담의 틀 내에서 하루빨리 대화를 시작하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유럽연합 등 서방과 러시아가 갈등해온 대표적인 난제 중 하나로, 프랑스와 독일 등 EU는 2014년 3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속한 크림반도를 강제 병합한 뒤 대러시아 제재를 단행해 이 제재를 지금까지 확대·연장해 왔습니다.
현 제재는 오는 9월까지 연장된 상태입니다.
이에 대한 반발로 러시아가 유럽 농산물에 대한 수입제한 조치로 맞서면서 프랑스 농가도 타격을 입었습니다.
[Phot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