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초 구조 북한 선원 중 부자 2명 귀순"...북한 반발할 듯

지난 2일과 3일 동해상에서 표류하다 우리 해경에 구조된 북한 선원 4명 중 2명이 우리 측에 귀순의사를 밝혔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9일 오후 기자 설명회에서 "정부 합동신문 조사 결과 북한 선원 4명 중 2명이 귀순 의사를 밝혀 남한에 잔류하도록 했다"며 "인도적 측면과 그동안의 관례에 따라 처리했다"고 말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귀순한 2명은 부자지간"이라며 "50대 아버지가 처음부터 귀순을 계획했고 20대 아들을 태워 남쪽 해역으로 넘어와 우리 측에 귀순의사를 밝혔던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습니다.
통일부는 나머지 2명에 대해서는 유엔사 군정위 협조를 얻어 8일 오후 북측에 송환 계획을 통보했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 측 해경함은 9일 오전 9시쯤 동해 NLL선상에서 선원 2명과 선박 1척을 북측에 인계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나머지 선박 한 척은 수리가 불가능해 선원 동의하에 폐기했다고 통일부는 덧붙였습니다.
앞서 지난 2일 오후 선원 1명이 탄 북한 선박이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저진리에서 동쪽으로 196km 떨어진 해상에서 표류하다 우리 해군 함에 구조됐습니다.
하루 뒤인 3일 오후에도 울릉도 북서쪽 46km 해상에서 선원 3명이 탄 또 다른 북한 선박이 우리 해경함에 구조됐습니다.
선원 중 일부가 한국에 남기로 함에 따라 북한의 강한 반발이 예상됩니다.
북한은 지난 2015년 7월 동해 상에서 우리 해경에 구조된 선원 5명 중 3명이 귀순하자 우리 당국이 이들을 '억류'했다고 비난하며 전원 송환을 요구했습니다.
당시 북한은 판문점에서 귀순자 가족의 회견을 진행하는 등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이번 사안은 북한이 우리 인도지원 단체의 방북을 거부해 문재인 정부 출범 후 민간단체들이 추진해 온 남북교류 재개 움직임이 시작부터 난관에 부닥친 상황에서 나왔습니다.
일각에선 남북관계에 또 다른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Phot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