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네바 북한대사 "억류자, 국제기준에 따라 대우" 주장

북한에 억류됐다 혼수상태로 귀국한 미국인 대학생 오토 웜비어의 사망으로 북미관계가 크게 긴장된 가운데 북한이 자국에 억류된 외국인을 국내법과 국제기준에 따라 대우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한대성 제네바 유엔 주재 북한대사는 현지시간 20일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지난주 토마스 오헤아 킨타나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웜비어를 제대로 보호하지 못했다고 비판한 보고서 내용을 부인하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한 대사는 억류자 문제에 관해서는 전문가가 아니라면서도 "우리는 국내법과 국제기준에 따라 행동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웜비어나 한국·미국·캐나다 등 북한 내 다른 외국인 억류자에 대한 언급은 거부했습니다.
그는 킨타나 보고관의 발언에 대해 "현실을 왜곡하는 것으로 수용할 수 없다"면서 "이미 말했듯 그는 미국과 그 동맹국 적대세력의 모범적인 종"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한 대사는 미국과 다른 나라가 북한에 더 광범위한 추가 제재를 가할 가능성에 관해 질문하자 "나의 조국은 60년 넘게 미국의 제재를 받아왔다"며 "어떤 제재를 추가할지 몰라도 우리는 두렵지 않다"고 답했습니다.
그는 킨타나 보고관이 지적한 남북 이산가족문제에 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킨타나 보고관은 "시간이 없다"며 오는 8월 상봉을 재개하자는 한국의 제안을 지지했습니다.
한 대사는 그러면서 2015년 10월 중단된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다시 논의하기 위해서는 중국 내 북한 식당에서 일하다 탈북해 한국에 정착한 종업원들의 송환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산가족 상봉 문제가 제대로 해결되려면 전례 없는 북한인 납치 책임자가 국제 사회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며 "남한 당국이 더이상의 지체 없이 북한 여종업원들을 부모의 품으로 돌려보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Phot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