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반도 A to Z

주요뉴스

유엔 안보리, 6일 '북한 ICBM발사' 긴급회의 소집할 듯

뉴스2017-07-05
유엔 안보리, 6일 '북한 ICBM발사' 긴급회의 소집할 듯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이르면 현지시간 5일 오후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14형' 발사 성공 주장에 대응해 긴급회의를 열 것으로 보입니다.

안보리 상임이사국의 하나인 미국이 비공개 긴급회의 소집을 안보리에 요청했다고 유엔 주재 미국대표부 대변인이 4일 밝혔습니다.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대사가 4일 안보리 7월 의장국인 중국의 류제이 유엔주재 대사와 전화통화를 하고 북한의 이번 도발을 안보리에서 다루기 원하는 미국 정부의 뜻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15개 안보리 이사국 대표가 참석하는 회의는 5일 오후 3시 열릴 것 같다고 유엔 외교관들이 전했습니다.

미 정부의 한 고위 관리는 이날 CNN 방송에서 북한의 미사일이 2단계 ICBM일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습니다.

군축을 지향하는 미국 과학자 모임인 '참여 과학자 모임'의 공동대표인 물리학자 데이비드 라이트는 블로그에서 북한의 발표 내용이 사실이라면, 정상 각도로 쏘았을 때 대략 6천700km를 날아갈 수 있고, 이는 미국 알래스카 전역에 도달할 수 있는 거리라고 주장했습니다.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은 안보리 차원의 강력한 대응을 예고했습니다.

틸러슨 장관은 이날 강경화 외교장관과의 전화통화에서 안보리 차원의 강력한 조치를 비롯해, 대북제재와 압박의 강도를 높여나가는 가운데, 특히 북한의 핵 포기를 위한 중국의 적극적인 역할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배가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안보리는 2006년부터 현재까지 7건의 안보리 대북 결의를 통해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금지하고, 제재 수위를 점증적으로 높여왔습니다.

지난해 4차 핵실험 후 채택된 2270호 결의가 유엔의 비군사적 제재로는 역대 최강으로 평가되며, 5차 핵실험 후에는 2321호를 채택해 이를 보완했습니다.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에는 지난달 2일 북한의 거듭되는 미사일 실험에 대한 응징으로 대북 제재결의 2356호를 채택했다. 이 결의는 새로운 형태의 제재 없이 자산동결과 국외여행 제한을 받는 이른바 '대북 블랙리스트'에 개인 14명과 기관 4곳을 추가했습니다.

안보리에서 미국 등 서방은 북한의 도발이 계속되면 필요시 '중대한 추가 조치'를 취하겠다고 공언했지만 '대화를 통한 평화적인 북핵 해결'을 요구하는 중국의 반대로 고강도 제재를 놓고 충돌해왔습니다.

[Photo :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