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38노스 "북한, 국내 어디서든 탄도미사일 발사 가능 입증"

북한이 탄도미사일 시험을 하지 않던 평안북도 방현비행장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급 미사일 발사에 성공한 것은 북한의 어느 지역에서든 탄도미사일을 쏠 수 있는 능력을 입증한 것이라고 분석이 나왔습니다.
미 존스홉킨스대 한미연구소의 북한 전문 웹사이트 '38노스'는 6일 "발사장소의 지리적 위치는 남동쪽 8㎞ 지점의 계곡 안이고, 이 계곡에 북한의 주요 비행기 제조·연구 시설인 방현항공기공장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이 지역이 탄도미사일 발사에 사용된 것은 처음으로, 이하리 군용차량 시험장에서 북극성-2형을 처음으로 시험 발사한 것과 마찬가지"라며 "이는 북한이 국내 어디에서든 탄도미사일을 쏠 수 있다는 향상된 능력을 입증한다"고 말했습니다.
38노스는 "이에 따라 전시에 북한의 미사일 능력을 제거하고, 북한의 도발 시 군사적으로 대응하고, 북한의 미사일 시설에 대한 선제 타격을 하기가 복잡해졌다"고 진단했습니다.
38노스는 또 북한이 화성-14형 미사일을 발사한 지 30시간 뒤의 상업위성 사진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콘크리트 발사대에 직경 5m의 비교적 작은 발사 흔적이 남았다며 시험발사 성공에 무게를 실었습니다.
38노스는 "ICBM처럼 큰 미사일이라도 성공적인 탄도미사일 발사는 큰 발사 자국을 남기지 않고, 발사된 미사일의 크기와 상관없이 작은 흔적을 남긴다"고 강조했습니다.
38노스는 위성 사진 분석 결과 지난달 마지막 주에 방현항공기공장에서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한 새로운 활동이 감지됐다고 밝혔습니다.
김정은이 발사 장면을 지켜본 관측 장소와 발사대 쪽으로 흙길이 새로 나고, 직경 85m의 원형 장소에 가로 62m, 세로 20m의 콘크리트 발사대가 설치됐다고 38노스는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화성-14형 발사대 크기가 이하리시험장과 갈마발사장, 동해위성발사장 등 다른 지역의 발사대를 능가하는 최대 크기라며 이동식발사차량이 충분히 작전을 전개할 수 있는 발사대의 크기라고 덧붙였습니다.
38노스는 "이런 정황으로 볼 때 이곳은 앞으로 미사일 개발과 시험 발사 장소로 쓰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Phot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