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반도 A to Z

주요뉴스

"북한 내 처형장소 333곳, 시신처리장소 47곳"

뉴스2017-07-20
"북한 내 처형장소 333곳, 시신처리장소 47곳"

북한 전역에서 반인도적인 처형 장소가 333곳에 이르고 집단 매장 추정지와 시체 소각장 등은 47곳이라는 조사 결과가 공개됐습니다.

대북인권단체인 '전환기정의워킹그룹'은 북한에서 공개 총살과 교수형 등 반인도범죄가 이뤄진 장소, 사망자 집단 매장 추정지, 시체 소각장 등을 표시한 '북한 인권범죄 지도'를 작성, 공개하면서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이 단체는 지난 2년간 375명의 탈북민을 인터뷰하고, 이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구글어스를 활용해 조사했다고 밝혔습니다.

설문에 응답한 탈북민들에 따르면, 북한 전역에 처형 장소는 333곳이며, 이 가운데 290곳이 총살 장소로 나타나 가장 많았으며 교수형장소 40곳, 화형장소 1곳, 자의적 처형장소 2곳 등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국가에 의한 주민 살해 수단은 주로 총살로 나타났으며, '고난의 행군'시기로 알려진 1990년대에는 교수형, 심지어 화형도 널리 행해지고 폭행해 숨지게 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조사 과정에서 드러났습니다.

특히 정치범수용소(관리소)와 감옥(교화소)에서 처형은 수감자들의 탈출 시도 의지를 꺾기 위한 공포심 조성과 위협 수단으로 자주 사용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처형된 시신을 처리하는 장소는 북 전역에 47곳으로, 교화소 창고에 모아뒀다가 한꺼번에 화장되거나 폐광, 폐기물 처리소 등에 버려지고, 일반에 공개된 방치되는 경우도 목격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이 지목한 이 같은 인권범죄 장소는 함경북도 지역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이 단체가 인터뷰한 탈북민의 58.9%(221명)가 이 지역 출신이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설문에 응한 탈북민 272명 중 79.41%는 피해 사망자 유해 발굴이 필요하다고 응답했고 유해 발굴이 필요한 이유로는 '가해자 조사·재판에 도움이 될 증거이기 때문에'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또 인권유린 가해자들에 대한 책임 추궁이 필요하다고 답한 응답은 94.8%로 나타났습니다.

[Photo :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