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매우 특이한 북한 잠수함 활동 감지"…또 미사일 사출시험

미군이 "매우 특이하고 전례 없는 수준"의 북한 잠수함 활동과 추가 미사일 사출시험의 증거를 감지했다고 CNN 방송이 보도했습니다.
익명의 미군 관계자는 이 방송에 북한이 30일 신포 조선소에서 미사일 냉발사 체계인 '콜드런치' 체계를 점검하기 위한 사출시험을 진행했다고 밝혔습니다.
콜드런치란 미사일을 발사하는 잠수함이나 바지선의 손상을 막기 위해 고압 증기를 이용해 미사일을 공중으로 밀 어올린 후 엔진을 점화시켜 발사하는 방식입니다.
CNN에 따르면 북한이 이같은 미사일 사출시험을 한 것은 올해 들어 4번째, 7월에만 3번째입니다.
불과 사흘 전인 지난 27일에도 같은 장소에서 같은 시험이 이뤄졌다고 이 방송이 보도한 바 있습니다.
특히 이번 사출시험은 북한이 28일 대륙간탄도미사일급 '화성-14형'을 쏘아 올리는 등 7월에만 두 번의 ICBM 시험발사에 성공한 직후에 이뤄졌다는 점에서 미국의 안보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만약 북한이 지상 기반 ICBM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SLBM을 모두 개발한다면 이른바 '핵전략 삼위일체'에서 전략폭격기를 이용한 미사일 공중 투하를 제외한 2개 능력을 갖는 셈이기 때문입니다.
미 정보당국은 그러나, 북한의 잠수함 미사일 프로그램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무르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잠수함 선단은 약 70대 규모로 추정되지만, 이 가운데 다수는 낡아서 미사일을 발사할 수 없는 상태로 추정됩니다.
그러나 북한은 최근 동해에 배치한 디젤 동력의 로미오급 잠수함을 공해에서 100㎞ 이상 떨어진 곳까지 이동시키고, 고래급 잠수함에 미사일 발사가 가능한 튜브를 설치하는 등 "전례없는 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복수의 미군 관계자가 CNN에 전했습니다.
이런 활동으로 최근 미국과 한국의 군 당국이 경계 수준을 약간 높였다고 이들은 덧붙였습니다.
북한의 안보 위협 증대에 따라 미국의 무력 대응 가능성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습니다.
[Phot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