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대외무역 중국 의존도 3년째 90% 올라

중국이 북한에 압력을 행사하라는 미국에 맞서 대북 영향력이 제한적이라며 발뺌하고 있지만 북한은 대외 교역 대부분을 중국에 의존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3일 베이징 소식통과 코트라 등에 따르면 북한의 대외무역 중 국별 의존도는 2016년 중국이 92.5%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2014년(90.2%), 2015년(91.3%)에 이어 3년 연속 90%대를 유지했습니다.
지난해 중국에 이어 북한의 무역 의존도가 높은 국가는 러시아로 전체의 1.2%에 불과했습니다.
그 다음 순위의 인도와 태국도 각각 0.9%와 0.8%였습니다.
2016년 북중 간 무역 규모는 60억5천600만 달러(한화 6조8천45억원)로 전년 대비 6.1% 늘었습니다.
이 기간 북한의 대중국 수출은 6.06% 증가한 26억3천400만 달러(2조9천595억원)로 전체 수출의 93.39%였습니다.
수입도 6.06% 늘어난 34억2천200만 달러(3조8천449억원)로 전체 수입의 91.85%를 차지했습니다.
북한의 대중국 무역 적자는 지난해 7억8천800만 달러(8천857억원)로 전년의 7억4천300만 달러(8천351억원)보다 6.08% 증가했습니다.
수입이 수출보다 많은 만성 적자 구조로 인해 대중국 적자 폭이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주목할 대목은 북한의 대중국 무역 의존도가 처음으로 50%를 넘었던 2005년(52.6%) 이래 지속해 늘고 있다는 점입니다.
코트라 측은 "안보리 대북 결의에 따른 제재에도 지난해 북중 교역 규모는 전년 대비 6%가 늘었다"면서 "광물성 제품, 섬유, 철강금속, 기계 중심의 전체적인 교역 구조에 큰 변화가 없으나 지속하는 국제사회 제재 국면과 북한 수출 역량의 한계로 극단적인 대중 의존도는 지속할 전망"이라고 분석했습니다.
[Phot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