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반도 A to Z

주요뉴스

미 국무·국방 "북한 변화 위해 외교수단 선호…그뒤에 군사옵션도"

뉴스2017-08-14
미 국무·국방 "북한 변화 위해 외교수단 선호…그뒤에 군사옵션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북 강경발언이 연일 쏟아지는 가운데 미국의 외교·국방 수장들이 북한의 정권교체에는 관심이 없으며 북한과 대화할 의향이 있다는 점을 재확인했습니다.

그러면서도 군사적 옵션이 완전히 배제된 것은 아니라면서 북한의 태도 변화를 압박했습니다.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과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은 현지시간으로 13일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에 보낸 '평양에 책임을 묻겠다'는 제목의 기고문에서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평화적 압박 캠페인'을 계속해 나가겠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틸러슨 장관과 매티스 장관은 "미국은 북한 정권교체나 한국의 조속한 재통일에 관심이 없으며 비무장지대 북쪽으로 미군을 주둔시킬 핑계를 찾거나, 북한의 호전적인 정권과 거리가 있는 북한 주민들을 해하려는 것도 아니다"라면서 이 같은 입장을 밝혔습니다.

두 장관은 최근 미국의 행보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가 한반도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 정권의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해체를 위해 북한에 외교적·경제적 압력을 가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은 북한의 위협을 촉진한 '전략적 인내' 기조 대신 '전략적 책임'으로 선회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두 장관은 "미 정부가 북한과 협상할 의향이 있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다만 "북한이 협상에서 정직하지 못하고, 국제적 합의 위반을 반복한 이력이 있는 만큼 선의를 갖고 협상을 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다는 점을 먼저 보여줘야 한다"는 단서를 달았습니다.

두 장관은 "자극적인 위협이나 핵실험, 미사일 발사나 다른 무기 실험의 즉각적 중단"이 이런 의지를 보여줄 수 있는 방편이라고 제시했습니다.

두 장관은 미국의 외교적 접근법에 대해선 북한에 막대한 영향력을 가진 중국 정부도 지지한다고 언급해, 북한 문제를 놓고 미·중 갈등이 고조됐다는 일각의 관측을 부인했습니다.

이어 "북한 정권의 행동은 중국이 수십 년간 구축하려 노력한 경제·정치·군사적 안정성을 위협하는 존재"라며 "중국이 미국과 동일한 목표를 추진할 강력한 동기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Photo :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