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반도 A to Z

주요뉴스

"추가 지진 알았지만"…발표 못 하는 지질자원연구원

뉴스2017-09-04
"추가 지진 알았지만"…발표 못 하는 지질자원연구원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 곧이어 갱도 붕괴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는 추가 지진이 발생했지만 기상청은 이를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2차 지진 발생을 인지했지만 '업무 일원화'를 이유로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못했습니다.

4일 지질연에 따르면 전날 낮 12시 38분 32초께 북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에서 규모 4.1의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6차 핵실험으로 규모 5.7의 인공지진이 발생한 지 30분이 지난 뒤입니다.

지질연은 국외와 국내 관측소 4곳의 지진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최대 진폭을 계산, 규모 4.1의 추가 지진이 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연구원 관계자는 "지진파가 미약해 노이즈에 묻혀있는 자료에 대한 정밀분석을 통해 관측이 가능했다"면서 "에너지가 적기 때문에 뚜렷한 이벤트는 아니었지만 파형의 변화가 감지됐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분석 결과는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지난 7월 관련 법령에 따라 기상청으로부터 지질연의 자체 지진 분석 결과를 외부에 공개하지 말라는 공문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기상청은 관계기관의 분석 차이로 인한 혼돈을 막는다는 취지에서 창구를 일원화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두고 국민의 알 권리 보장과 정보공개 차원에서 후퇴한 조치라는 지적이나옵니다.

중국 지진국과 미국 지질조사국이 북한의 6차 핵실험으로 인공지진이 발생한 지 8분이 지난 뒤 추가 지진이 일어났다고 발표하면서 갱도 일부의 붕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기상청은 "우리나라에서는 분석되지 않았다"며 현재까지 어떤 입장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Photo :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