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언론, 한반도 위기감 증폭 보도···"한국 체류자 4단계 대피대책"

일본 정부가 북한의 6차 핵실험 등 한반도 일대의 불투명성이 높아짐에 따라, 유사시 한국 체류 자국민의 대피방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습니다.
신문에 따르면, 현재 한국에 체류하는 일본인은 6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사업·공무 등의 장기 체류자 3만8,000여 명, 관광 목적 단기 체류자 만9,000천여 명입니다.
일본 정부는 유사시 일본인이 자력으로 민간 항공기 등을 이용해 한국을 떠나는 것을 기본 방침으로 하고 있습니다.
자력 출국이 어려울 경우 한국 정부나 미군과 협의해 전세기 등을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미국이 북한을 군사공격하면, 그것이 공개되지 않아도 일본 정부의 판단으로 한국에서 퇴거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일본 정부는 불요불급한 한국 방문 중지 요청, 한국 방문 중지 권고, 퇴거 권고, 대피소 대기 등 4단계의 대응 방안을 마련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한국 정부와 조정이 필요한 4단계는 북한의 대규모 공격으로 한국내 공항이 폐쇄되는 상황입니다.
이 경우, 주한 일본대사관은 한국내 일본인에게 자택에서 대기하거나 한국 남부 등 안전한 지역으로 일단 대피할 것을 당부하게 됩니다.
현재까지는, 정부간 협의를 통해서 한국내 대피소를 일본인들이 사용하도록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미 일본 정부는 900곳 이상의 대피소 정보를 한국내 일본인들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항공편을 통한 대피가 어려워지면 부산에서 선박편으로 한국 퇴거가 이뤄지게 됩니다.
서울 등 수도권에서 부산으로 이동은 주한미군의 도움을 받을 계획이다. 자위대가 한국내에서 활동하는데 대해 한국내 반감이 크기 때문에 항편편 직접 투입은 사실상 불가능하지만, 부산에 자위대 선박을 투입하는 방안은 검토하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한반도 불안 상황을 틈타 테러리스트 등이 입국할 수 있다며 미국과 협력해 불법 입국자 차단에도 힘을 쏟기로 했습니다.
아베 총리는 앞서 지난 4월 국회 답변에서 "피난민을 보호하는 데 이어, 입국 절차, 수용시설 설치, (계속) 보호해야 하는 사람에 해당하는지 검증하는 일련의 대응을 상정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Phot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