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800만 달러 대북인도지원 검토…미·일에 사전 설명"

정부가 국제기구를 통해 북한모자보건 사업에 800만 달러를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합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14일 "유니세프와 WFP 등 유엔 산하 국제기구의 요청에 따라 800만 달러를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 21일 예정된 교류협력추진협의회에서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정부가 검토중인 방안은 WFP의 아동·임산부 대상 영양강화 사업에 450만달러, 유니세프의 아동·임산부 대상 백신 및 필수의약품, 영양실조 치료제 사업에 350만달러 공여 등입니다.
이 당국자는 "구체적인 지원내역 및 추진 시기 등은 남북관계 상황 등 제반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도 14일 정례 브리핑에서 대북인도적 지원사업 검토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조 대변인은 특히 미국과 일본에게 관련 사업 검토 사실을 설명했는지를 묻는 질문에 "정부의 인도적 지원에 대한 기본 입장, 그리고 이러한 대북 정책 전반에 대해 미국, 일본 등 국가와 긴밀히 협의해 오고 있고 이번 지원 검토에 대해서도 사전에 설명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지원이 결정되면 문재인 정부 들어 첫 대북지원입니다.
또 국제기구를 통한 대북지원은 2015년 12월 유엔인구기금의 '사회경제인구 및 건강조사 사업'에 80만 달러를 지원한 이후 21개월 만에 재개되는 것입니다.
국제기구를 통한 대북지원은 보수 정부 때도 이어져 오다 지난해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중단됐습니다.
정부는 북한의 6차 핵실험 등 도발이 이어지고 있지만 대북지원을 적극 검토하는 것은 '대북 인도적 지원은 정치적 상황과 관계없이 추진한다'는 원칙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조 대변인은 "물론 현재 북한의 도발에 따른 제재와 압박의 시기인 것은 맞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도적 지원은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게 지속한다는 것을 정부 입장으로서 견지해 왔다"고 강조했습니다.
박근혜 정부도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게 대북인도적 지원을 추진한다'는 원칙이었지만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에는 '지원 규모와 시기 등은 종합적으로 고려해 검토해 나간다'는 단서를 달아 지원하지 않았습니다.
[Phot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