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北 인도지원 시기 고려해야"…文대통령 "정치상황과 무관"

문재인 대통령은 15일 북한의 잇따른 핵과 미사일 도발 상황에서 우리 정부의 대북 인도적 사업 지원에 대해 "원칙적으로 영유아와 임산부를 지원하는 것은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게 다뤄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은 15일 오후 아베 일본 총리와의 전화 통화에서 '대북 인도적 지원 시기를 고려해달라'는 아베 총리의 요청에 대해 "유엔식량계획과 유엔아동기구가 북한의 영유아와 임산부에 대한 사업 지원을 요청해와 검토하게 된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이 사안은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에서 현재의 남북 관계와 북한의 계속된 도발 등 상황을 종합 감안해 시기 등 관련 사항을 판단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언젠가 그런 인도적 지원을 하게 돼도 현금이 아니라 반드시 현물이어야 하고, 영유아나 임산부 등 필요한 사람에게 틀림없이 전달돼야 하며, 이에 대한 모니터링도 제대로 될 것을 전제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일 두 정상은 이날 북한의 중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강력히 규탄하고, 국제사회와 함께 유엔 안보리 결의를 철저히 이행해야 한다는데 뜻을 모았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에 대해 최고 강도의 제재와 압박을 가해 북한이 대화의 장으로 나올 수밖에 없도록 만들어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습니다.
다음주 뉴욕에서 개최되는 유엔 총회에서 국제사회의 단합된 의지를 재확인하고, 북한의 태도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단호하고 실효적인 조치도 함께 모색해 나가자고 합의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에 대한 확고한 대응 필요성에 공감한다"면서도 "다만 북한의 위협에 과도하게 대응해 긴장이 격화돼서 자칫 우발적 충돌로 이어지지 않도록 한일 양국이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해나가자"고 말했습니다.
이에 아베 총리는 "한반도에서 전쟁으로 인해 큰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결코 원하지 않는다"며 "앞으로도 한일 양국이 긴밀히 공조하면서 북한의 정책을 바꾸고 양국민의 안전도 지키는데 협력해 나가자"고 말했습니다.
이날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정상간 통화는 취임 이후 일곱 번 째로 이뤄졌습니다
[Phot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