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반도 A to Z

주요뉴스

제재 강화에 가뭄까지…북, 심각한 식량 부족 전망

뉴스2017-10-17
제재 강화에 가뭄까지…북, 심각한 식량 부족 전망

북한이 올해 심각한 가뭄으로 농산물 수확량이 크게 줄어 식량 배급에 차질이 예상됩니다.

미국의 북한 전문 웹사이트인 38노스는 현지시간 16일 유엔식량농업기구의 특별 보고서를 인용, 북한의 장기 가뭄으로 올해 식량 생산량에 극도의 위험이 예상된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북한은 지난 4~7월 가뭄이 심각해 모종 작업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엎친데 덮친격으로 4~6월에는 강우량도 연평균을 밑돌아 농작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했습니다.

올해 강우량은 곡식 수확량이 유례없이 저조했던 2001년보다도 적었다는 것이 FAO의 설명입니다.

위성 이미지 등을 통해 농작물의 수확량을 예측하는 정규식생지수 분석 결과를 보면 7월 초·중순 기준으로 전체 농작물의 3분의 2 가까이가 수확에 있어 '부정적'이거나 '매우 부정적'인 상황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북한의 주요 곡창지대인 평안북도나 황해남북도의 재배 실태도 작황 상황이 좋지 못한 데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도 강화된 상황이어서 올해 북한의 식량난은 더욱 심각해질 전망입니다.

북한의 농작물 생산 능력은 지난 10여 년간 상당히 개선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올해 같은 극단적인 가뭄 상황에서 어느 정도로 대처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합니다.

후기 작물 재배에 기대를 걸어보지만 최근 몇주 동안의 강우량이 충분치 못한 지역도 많아 식량난 해소를 개선하기는 어렵습니다.

쌀과 밀 같은 전기 재배 농작물은 생산량 감소가 분명하며 그나마 기상환경이 뒷받침된다면 밀과 옥수수, 감자 같은 후기 작물 재배를 통해 식량공급에 도움을 받을 수 있겠지만 이 또한 대부분의 재배지역에서 여의치 못한 실정이라고 38노스는 전했습니다.

[Photo :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