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반도 A to Z

주요뉴스

"대북송유관 잠그라"는 미국에 중국 '부정적'…"안보리 결정할 문제"

뉴스2017-12-01
"대북송유관 잠그라"는 미국에 중국 '부정적'…"안보리 결정할 문제"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급 '화성-15형' 발사 도발에 맞서 대북 원유공급 중단을 포함한 대북 압박 강화를 요구하고 있으나, 중국은 여전히 부정적입니다.

트럼프 미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직접 원유 공급 중단을 요청한 사실이 공개된 데 대해 중국은 양갈래로 '거부' 시그널을 보내고 있습니다.

30일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중문·영문 자매지인 환구시보와 글로벌타임스는 뉴욕 현지시간으로 29일 안보리 긴급회의에서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대사가 모든 국가에 북한과의 외교 관계 단절과 중국에 대북 원유 공급 중단을 요구했다고 전했습니다.

두 신문은 이어 "헤일리 대사의 이런 언급은 북한이 미국을 타격할 수 있는 ICBM급 발사 성공 뒤 나온 강력한 반응으로 북미 갈등이 임계점을 향해 가속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시했습니다.

이어 헤일리 대사의 요구는 북한을 정치·경제적으로 압박하려는 것으로 "북한이 화성-15형 발사에 성공했으나 핵탄두를 탑재하는 데 시일이 걸릴 것"이라며 "북한이 미국에 거친 행동을 지속하고 미사일 기술을 멋대로 자랑한다면 상황은 더욱 위험해질 것"이라고 북한을 겨냥해 경고했습니다.

아울러 "유엔 제재 이외에 중국과 러시아는 미국이 원하는 대로 어떠한 일방적인 대북 제재를 부과하지 않을 것"이며 "대북 외교 관계 단절과 원유 공급 중단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승인받지 못할 것"이라고 미국에도 일침을 놓았습니다.

두 신문은 그러면서 "현재 겨울이라 원유 공급 중단은 북한 주민의 생활을 어렵게 하고 인도적 위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어 중국은 북한에 이런 극단적인 조처를 하지 않을 것이며 러시아도 미국의 이런 요구를 지지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중국은 한반도 상황이 전쟁으로 치닫는 것을 막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해왔으나 북미 간 대립과 전략적 오판이 전쟁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는 경고도 곁들였습니다.

중국 외교부의 겅솽 대변인도 전날 정례브리핑에서 대북 송유관을 잠그라는 미국의 요구에 대한 중국의 입장이 뭐냐는 질문을 받고 "중국은 유엔의 대북제재 결의를 완전하게 집행하고 있다"는 말로 유엔 제재에 포함되지 않은 대북 원유공급 중단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우회적으로 밝혔습니다.

[Photo :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