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길주군 출신 탈북민 2명 방사능 피폭 의심...핵실험 영향 단정 못해"

통일부는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이 있는 함경북도 길주군 출신 탈북민 30명을 상대로 방사능 피폭 여부를 검사한 결과 방사능 오염이 의심되는 피검자는 없었으며 방사선 피폭 의심자는 2명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피폭의심자 2명도 핵실험에 의한 피폭의 영향으로 단정할 수 없다고 통일부는 덧붙였습니다.
통일부는 27일 지난 10월부터 이달 16일까지 한국원자력의학원이 1차 핵실험이 실시된 2006년 10월 이후 탈북한 길주군 출신 탈북민 114명 중 검사를 희망한 30명을 상대로 검사한 결과를 발표하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방사능 물질이 체내에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방사능 오염 여부를 검사하는 전신계수기 검사 및 소변시료검사에서 검사 당시 방사능 오염이 의심되는 피검자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단, 체내 방사능 오염은 방사성 물질의 유효 반감기에 의해 감소하는 특징이 있어 북핵 실험에 의한 체내 방사능 오염이 있더라도 방사능 오염 검사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방사선에 의한 염색체 이상 여부를 검사하는 안정형 염색체이상분석 검사에서 최소검출한계 이상의 추정 흡수선량값이 보고된 피검자는 총 4명으로 이 중 2명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고 이 당국자는 말했습니다.
그는 "(안정형 염색체이상분석 검사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 2명 중 1명은 국내 거주 일반인 수준보다 높은 결과를 보여 염색체 이상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에 노출됐을 가능성이 있지만, 검사의 교란변수로 핵실험에 의한 피폭 영향으로 단정할 수는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 또 다른 1명은 고령의 나이와 CT를 촬영한 의료피폭력 및 30년간의 흡연력의 영향 등 교란변수를 배제할 수 없어 방사선 피폭에 의한 결과로 단정할 수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번 검사를 통해 길주군 출신 일부 탈북민(30명 중 2명)의 방사선 피폭을 의심할 수는 있지만 △검사 사례수가 충분하지 못하고 △교란변수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가 부족하며 △검사자 30명 모두 탈북시가 제4 차 핵실험(16년 1월) 이전으로서 핵실험 이후 장기간이 경과했기 때문에 시기와 원인을 단정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통일부는 향후 방사선 피폭 의심 탈북민은 주기적인 건강검진을 권고하고 탈북민 대상 방사선 피폭검사를 추가로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Phot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