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위크' 돌입한 문 대통령…남북관계·위안부 문제 분수령

문재인 대통령이 한반도 외교·안보 현안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이는 '슈퍼위크'를 맞았습니다.
무술년 새해 두 번째 주간인 이번 주는 지난 10년간 얼어붙었던 남북관계의 향방을 가늠할 남북 고위급회담과 작년 연말부터 꼬리를 문 아랍에미리트 의혹 해소의 갈림길이 될 UAE 핵심 고위관계자 방한이 연이어 대기하고 있습니다.
올해 외교·안보 기조를 밝힐 신년 기자회견에서는 한일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해법까지 내놓을 예정입니다.
이번 주가 어떻게 펼쳐질지에 따라 집권 2년 차를 맞은 문재인 정부의 순항 여부가 달려 있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입니다.
우선 UAE 의혹을 풀어줄 핵심 인물인 칼둔 칼리파 알 마바라크 UAE 아부다비 행정청장이 1박 2일 일정으로 8일 오전 방한했습니다.
칼둔 청장은 지난달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문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UAE를 방문해 모하메드 왕세제를 접견할 당시 배석한 왕세제의 최측근 핵심 인사입니다.
임 실장의 방문이 박근혜 정부 때의 소원해진 관계 회복을 위한 목적이라는 것에서부터 이전 보수정권에서 맺은 군사협력을 수정하려는 과정에서 불거진 양국 갈등을 봉합하기 위한 것이라는 설까지 각종 의혹이 쏟아진 상황입니다.
칼둔 청장이 방한 기간에 문 대통령을 접견할 것으로 관측되는 만큼 한 달여를 끌어오며 정치권의 핫이슈로 부상한 UAE 의혹이 풀릴지 주목됩니다.
무엇보다 관심을 끄는 일정은 9일 남북 고위급회담입니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발신한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 의사로 촉발된 한반도 해빙 기류가 전반적인 남북관계 개선으로 이어질지 가늠자가 되기 때문입니다.
청와대는 일단 이번 회담을 평창올림픽이라는 주제로 한정 지으며 조심스러운 입장이지만 남북관계의 물꼬를 트는 계기가 될 가능성은 충분하다는 분석입니다.
특히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로 조성된 화해 분위기를 북핵 문제 해결의 시작점인 북미대화로 연결할 수 있을지에 전 세계가 주목하는 형국입니다.
문 대통령이 10일 청와대 출입기자들을 상대로 하는 신년 기자회견은 올해 외교·안보 정책 운용의 방향을 잡는 시금석이 될 전망입니다.
회견에서 문 대통령은 남북관계와 북핵 등 한반도 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지에 대한 정견을 밝힐 예정입니다.
특히 주목되는 부분은 문 대통령이 12·28 한일 위안부 합의를 인정하지 않는다고 선언함에 따라 고조된 한일 갈등에 대한 해법입니다.
문 대통령은 12·28 합의가 절차적·내용상으로 흠결이 있다며 이 합의로는 위안부 문제가 해결될 수 없음을 분명히 했습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기존 입장에서 '1㎜도 못 움직인다'고 하는 등 일본 정부와 일촉즉발의 상황을 연출하고 있습니다.
합의 파기를 선언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지만 문 대통령이 미래지향적인 한일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한 만큼 이런 강수를 둘 것이라고 보는 시각은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평행선을 긋더라도 양국이 자신의 입장을 밝히는 선에서 위안부 문제를 장기적인 과제로 두는 '사드식 해법'을 취하되 이 문제가 여타 한일관계에까지 영향을 줘서는 안 된다는 '투트랙' 기조를 재차 천명할 가능성이 점쳐집니다.
[Phot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