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반도 A to Z

주요뉴스

"미 국무장관 교체로 북미정상회담 연기될 가능성…6~7월설도"

뉴스2018-03-15
"미 국무장관 교체로 북미정상회담 연기될 가능성…6~7월설도"

미국의 외교 수장인 국무장관의 갑작스러운 교체로 역사적인 북미정상회담이 연기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백악관이 새 국무장관으로 지명된 마이크 폼페이오 중앙정보국 국장에게 힘을 실어주고 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실무그룹까지 만들어 속도를 올리고 있지만, 넘어야 할 난관도 많기 때문입니다.

미 일간 뉴욕타임스는 현지시간 14일 폼페이오 지명자의 상원 인준 절차가 끝날 때까지 북미정상회담이 지연될 수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대북 매파'로 분류되는 폼페이오의 기용이 회담 자체를 무산시킬 것으로 보는 행정부 관료는 거의 없지만, 정상회담 예정 시한인 5월 말 전까지 인준 절차를 끝내고 본격적인 준비 작업에 착수하려면 시간이 부족하다는 게 공통적인 시각입니다.

통상 상원 인준에 여러 주가 걸리는 데다 아직 백악관이 인준 절차를 시작하기 위한 서류 작업도 끝내지 못했다고 복수의 관계자들이 이 신문에 전했습니다.

폼페이오 지명자는 정식 임명 전까지는 북한 외무상은커녕 한국의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도 공식 접촉할 수 없어 차질이 예상된다고 NYT는 내다봤습니다.

대북 외교라인이 전멸한 상태라는 점도 '연기설'에 조금씩 무게를 싣고 있습니다.

북한과의 협상을 전담해온 조셉 윤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최근 돌연 은퇴를 선언했고, 주한 미국대사 자리는 1년 넘게 공석 상태입니다.

이 때문에 백악관 내부에서조차 주한 미국대사로 내정됐던 빅터 차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 한국석좌를 낙마시킨 일을 후회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NYT는 전했습니다.

신문에 따르면 새로운 주한 미대사 후보로는 주한미군사령관을 지낸 제임스 서먼과 월터 샤프 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 정부의 특사단이 중개한 이번 북미정상회담을 북한 정부가 아직도 공식 확인하지 않고 미국과의 직접 외교채널을 가동하고 있지 않고 있다는 점도 회담 지연설의 근거로 제시됩니다.

워싱턴포스트도 전문가 분석을 인용해 정상회담 연기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에런 데이비드 밀러 우드로윌슨센터 부소장은 WP에 "시간이 더 필요할 것"이라며 5월로 예정된 북미정상회담이 6월이나 7월로 미뤄질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Photo :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