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반도 A to Z

주요뉴스

남북미 1.5트랙 "정상회담 성공 강조"…비핵화 조건 제시 안돼

뉴스2018-03-22
남북미 1.5트랙 "정상회담 성공 강조"…비핵화 조건 제시 안돼

남북한과 미국 간의 '1.5 트랙 대화'에서 한반도 비핵화 문제를 포함해 남북·북미정상회담과 관련한 폭넓은 논의가 이뤄졌습니다.

20∼21일 핀란드의 헬싱키 북부 반타에서 열린 이번 회담에서 3국 대표단은 "한반도 긴장완화와 정상회담의 성공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한국 대표단의 김준형 한동대 교수가 밝혔습니다.

김 교수는 회의가 끝난 뒤 출국길에 헬싱키 반타공항에서 취재진과 만나 "비핵화와 정상회담 등에 대해 논의가 이뤄졌느냐"는 질문에 "그렇다. 여러 부분에 대해 포괄적으로 이야기했다"고 답했습니다.

그러나, 북측 대표단은 비핵화에 대해 직접 의지를 나타내거나, 체제보장 방안 등 비핵화에 대한 반대급부에 대해 언급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 참석자는 "남북미 모두 그럴 만한 언급을 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참석한 회의가 아니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회의는 한국 미국 측에선 전직 관료와 학자들이 참석했지만, 북한에선 '미국통'인 최강일 외무성 북아메리카국 국장 직무대행이 참석해 주목을 받았습니다.

오는 5월 북미정상회담을 앞둔 가운데, 이번 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이 양측 간 실무 준비작업에 반영될 것으로 관측되는 대목입니다.

김 교수는 "이번 회의가 정상회담을 돕는 모임이 되어야 하고, 방해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인식을 함께 했다"면서 "정책에 책임지는 정부 당국자 간의 대화가 아닌 만큼, 자유롭게 대화를 나눴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북한 측 역시 연구원 자격으로 왔기 때문에 자유롭게 견해를 이야기했다"고 말했습니다.

최 직무대행은 북한의 미국연구소 부소장 자격으로 참석했습니다.

회의에서 미국 측은 비핵화 조치를 위한 제안을 하기보다는 중립을 지키면서 남북한 간의 대화를 원활히 하도록 노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양측은 사실상 이 모임을 정례화하기로 하고, 가까운 시일에 다시 만나기로 했습니다.

참석자들은 회의를 끝낸 뒤 핀란드 정부 측을 통해 발표문을 내고 "긍정적인 분위기 속에서 건설적인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습니다.

[Photo :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