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반도 A to Z

주요뉴스

여야, 김정은 방중 엇갈린 평가…"한반도 평화" vs "비핵화 시간끌기"

뉴스2018-03-28
여야, 김정은 방중 엇갈린 평가…"한반도 평화" vs "비핵화 시간끌기"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방중과 북·중 정상회담에 대해 여야가 엇갈린 평가를 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과 민주평화당, 정의당은 한반도 평화 정착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환영 입장을 밝혔지만, 자유한국당은 북한의 '비핵화 시간끌기' 가능성을 경계했고, 바른미래당은 좀 더 치밀한 비핵화 전략을 주문했습니다.

민주당 김현 대변인은 28일 논평에서 "북·중 정상회담은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에 도움이 되는 계기를 만들었다"면서 "북한이 외교무대로 나올수록 한반도 문제의 해법은 용이해지기 마련"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외교적 대화와 정상 간의 만남이 거듭될수록, 그만큼 북핵 문제와 한반도 평화 정착의 과제는 풀어질 수밖에 없다"면서 "한반도에 평화를 정착시키고 평화체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국 모두의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반면, 한국당 장제원 수석대변인은 구두논평을 통해 "문재인 정권은 중국과 북한의 관계를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면서 "궁극적으로 북한은 중국의 허락을 맡아야 하는데 우리가 미북 정상회담을 통해 무엇인가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건 착각"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한국당 홍지만 대변인도 "압박을 견디다 못해 정상회담장으로 나온 북한에 중국이 뒷문을 열어준다면 비핵화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게 될 것"이라면서 "북한은 시간 끌기를 위해 중국과 손을 잡을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바른미래당 박주선 공동대표는 "중국이 (북한의) 후견인 내지 조정자로서 역할을 하게 되면 남북·북미 정상회담의 향방과 결과에 대한 예측이 지극히 어려워진다"며 "중국의 개입 또는 조정 상황에서 그 어느 때보다 치밀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당부했습니다.

유승민 공동대표도 "김 위원장의 방중 목적은 남북·미북 정상회담이 시작되기도 전에 중국을 움직여 대북제재와 압박을 낮추려는 의도"라며 "문재인 대통령은 중국을 접촉해 진상을 파악하고 미국과의 대화를 통해 전략 수립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평화당 최경환 대변인은 구두논평에서 "한국 정부가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에 특사를 파견하고 북측이 중국과 정상회담을 통해 협의를 시작한 것은 남북이 매우 적절하고 긍정적인 로드맵을 찾아가고 있다는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정의당 추혜선 수석대변인도 "(북·중 정상회담은) 대한민국에 있어 지속적인 청신호"라며 "북한이 비핵화 의지를 다시 한 번 드러낸 만큼 국회는 남북정상회담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힘을 모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Photo :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