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업 절반 "대북사업 추진계획 있다"

남북정상회담이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주요 기업 10곳 중 절반은 향후 대북사업을 추진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제계는 향후 남북관계를 긍정적으로 전망하면서도 정상화하는 데는 최대 5년이 걸릴 것이라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남북 경제협력 관련 회원사와 개성공단 입주기업 등 200여 개사(57개사 응답)를 대상으로 벌인 '남북경제관계 전망 설문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 기업의 절반(51.0%)은 '향후 장기적 관점에서 대북 투자 및 진출 의향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 이유로는 '도로·철도 등 인프라 개발'(33.3%), '새로운 사업기회 모색'(33.3%), '저렴한 노동력 활용'(15.2%), '동북아 해외거점 확보'(9.1%) 등을 꼽았습니다.
반면 '투자 또는 진출 의향이 없다'고 답변한 기업(24.5%)은 대부분 정치경제 불안정(57.1%)을 이유로 북한과의 사업이 아직 이르다고 판단했습니다.
응답 기업의 82.5%는 향후 남북관계를 희망적으로 전망했습니다.
다만 천안함 피격에 따른 5.24 조치 이후 중단된 남북 경제관계의 정상화 시점은 '2∼5년 이내'(49.1%)라는 시각이 우세했습니다.
'1년 이내'라는 응답은 22.8%였고 '5년 이상'이라는 답변은 19.3%를 차지했습니다.
기업들은 북한 비핵화 진전에 따른 남북 경제관계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우선 정책과제로 '과거와 같은 경협중단 사태 재발 방지·투자보장 등의 불확실성 제거'(43.9%), '정권변동과 관계없는 일관성 있는 대북정책 추진'(26.3%) 등을 주문했습니다.
전경련은 냉·온탕을 오가는 남북관계로 지난 30년간 남북 경협이 부침을 겪으면서 관련 기업들이 경제적 손실을 봤다고 지적했습니다.
2016년 통일부 실태조사에 따르면 개성공단 관련 261개 기업이 신고한 피해 금액은 약 9천446억원이었고, 금강산투자기업협회 소속 기업의 매출 손실 피해 추정액도 5천739억원에 달했습니다.
[Phot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