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회담, 파격에 파격…"만리마 속도로 통일"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27일 오전 회담에서 상당히 파격적이고 의미있는 대화를 나눈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청와대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은 오전 회담이 끝난 후 판문점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두 정상이 회담을 앞두고 한 환담의 주요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은 "초청해주시면 언제라도 청와대에 가겠다" "대결의 역사에 종지부 찍기 위해 왔다" 라며 파격적인 말을 전했습니다.
그리고 "이제 자주 만나자. 기대 부응해 좋은 세상 만들자", "굳은 의지로 함께 손잡고 가면 지금보다 못 하겠나" 같은 적극적인 자세도 먼저 보였습니다.
특히 김 위원장은 '저희 때문에 대통령께서 NSC회의에 참석하시느라 새벽잠을 설치는 일이 많았다고 하는데, 앞으로는 새벽잠 설치시는 일 없도록 제가 잘 챙기겠다' 라고 말해 앞으로 핵실험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뜻을 다시 한번 회담장에서 분명하게 밝혔습니다.
또 이번 남북 정상의 만남에 회의적인 시각이 있는 것을 잘 안다면서 "큰 합의를 해놓고 11년 동안 실천을 못 했다"고 인정하고, 이제는 "우리 힘으로 이끌고 주변국이 따라올 수 있도록" 하자면서 "만리마의 속도를 통일을 속도로 삼자"고 강조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도 "과거 실패를 교훈 삼아 잘 할 것"이라고 동의하고, 많은 사람들이 중국을 통해 백두산을 가는데 아직 가보지 못 했다면서 "북측을 통해 백두산을 꼭 가보고 싶다"고 의지를 보였습니다.
두 정상은 점심 시간이 끝나면 다시 만나, 먼저 고 정주영 회장이 소떼를 몰고 북한으로 갔던 '소떼길'에 소나무를 심을 예정입니다.
이 기념식수에는 한라산 흙과 백두산 흙, 한강 물과 대동강의 물이 쓰여 의미를 더하게 됩니다.
[Phot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