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반도 A to Z

주요뉴스

남북, 올해 종전 선언..."완전한 비핵화"

뉴스2018-04-27
남북, 올해 종전 선언..."완전한 비핵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무위원장이 올해 안에 종전을 선언하기로 했습니다.

한겨레를 남북으로 갈라놓은 한국전쟁 정전 협정이 체결된 지 65년 만입니다.

양 정상은 또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핵 없는 한반도를 실현한다는 공동의 목표를 확인하고, 문재인 대통령이 올 가을 평양을 방문하기로 했습니다.

양 정상은 27일 정상회담을 갖은 뒤 오후 평화의집 앞 마당에서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을 발표하고 한반도에 더는 전쟁은 없을 것이며 새로운 평화의 시대가 열렸다고 천명했습니다.

또 항구적이고 공고한 평화 체제 구축을 위해 남·북·미 3자 회담 또는 중국까지 포함한 4자 회담 개최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남북은 한반도의 첨예한 군사적 긴장 상태를 완화하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에도 함께 노력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선언문에 따르면 남과 북은 지상과 해상, 공중을 비롯한 모든 공간에서 군사적 긴장과 충돌의 근원이 되는 상대에 대한 일체의 적대행위를 전면 중지합니다.

당장 다음 달 1일부터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확성기 방송과 전단 살포 등 모든 적대 행위가 중단됩니다. 또 비무장지대는 실질적 평화지대로 만들어 나가기로 합의했습니다.

남북은 또 민족적 화홰와 단합의 분위기를 고조시켜 나가기 위해 각계각층의 다방면적인 협력과 교류왕래와 접촉을 활성화하기로 했습니다.

안으로는 각계각층이 참가하는 민족공동행사를 적극 추진하고, 밖으로는 2018년 아시아경기대회를 비롯한 국제경기에 공동으로 진출하기로 했습니다.

아울러 민족 분단으로 발생된 인도적 문제를 시급히 해결하기 위해, 오는 8.15를 계기로 이산가족·친척 상봉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남북 간 군사적 갈등이 가장 첨예한 곳 중 하나였던 서해 북방한계선 일대에 대해서는 '평화 수역'을 만들기로 했습니다.

우발적인 군사적 충동을 막고, 어민들의 안전한 어로 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실제적인 대책을 남북이 함께 세웁니다.

이처럼 쌍방 사이에 제기되는 군사적 문제는 다음 달 중 먼저 장성급 군사회담을 열어 논의합니다. 이를 시작으로 국방부장관회담을 비롯한 군사당국자 회담을 자주 개최하기로 약속했습니다.

또 양 정상은 선언문에서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핵 없는 한반도를 실현한다'는 공동의 목표를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남북 양측은 북측이 취하는 주동적 조치들이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대단히 의의 있고 중대한 조치라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앞으로도 각기 책임과 역할을 다하기로 했습니다. 또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국제사회의 지지와 협력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양 정상은 앞으로 정기적인 회담과 직통 전화로 중대사를 수시로 논의할 방침입니다. 또 지속적인 남북관계의 발전과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향한 좋은 흐름을 확대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고 선언했습니다.

이를 위해 문재인 대통령은 올해 가을 평양을 방문하기로 합의했습니다. 

[Photo :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