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반도 A to Z

주요뉴스

청와대 "남북 정상, 조만간 직접 통화 가능성"

뉴스2018-05-03
청와대 "남북 정상, 조만간 직접 통화 가능성"

청와대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의 직통전화 통화가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3일 기자들을 만나 '트럼프 대통령이 며칠 내로 북미정상회담 일정을 발표하면 남북 정상이 핫라인 통화로 그와 관련한 얘기를 하는가'라는 물음에 "통화를 하게 되면 그 내용도 같이 이야기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통화할 땐 계기가 있어야 하고, 현재로선 북미정상회담 일정이 가장 가까운 얘기가 될 것이라며, 북미정상회담 전 남북 정상 간 사전 논의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또 "한미정상회담 일정도 북미정상회담 일정이 정해져야 확정할 수 있다"며 "북미정상회담 일정이 갑자기 정해지면 한미정상회담을 안 하는 게 아니라 못할 수도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다음 주에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공동선언에 북한 비핵화를 요구하는 내용이 들어갈 것이라는 일본 언론의 보도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남북정상회담 성과를 공유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통화와 관련해서는 이번 주 내로 이뤄질 것이라는 기존의 설명을 반복했습니다.

2일 '주한미군 주둔' 논란을 일으킨 문정인 외교안보특보에게 임종석 비서실장이 전화를 걸어 주의를 당부한 데 대해 이 관계자는 "전화를 건 것은 문 대통령이 아닌 임 실장의 판단"이라고 전했습니다.

한편 차기 금융감독원장 발표가 늦어지는 것과 관련해 이 관계자는 "오늘은 발표가 어려울 것 같다"면서도 "조만간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김도균 국방계획비서관이 국방부 대북정책관으로 임명된 뒤 남북 정상이 판문점 선언에서 합의한 장성급 회담의 남측 대표를 맡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대통령의 최측근인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의원이 4일 경찰에 소환돼 참고인 조사를 받는 데 대해서는 별도의 입장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역사 교과서 집필 기준 최종 시안에서 '한반도 유일 합법정부' 등의 내용이 빠진 데 논란이 이는 것을 두고서도 "(정부의 입장은) 교육부에 문의하라"며 즉답을 피했습니다.

[Photo :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