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러, 가스·철도 등 9개분야 협력…김동연 "북한 참여해야"

한국·러시아 양국 정부가 가스와 철도 등 9개 분야의 경제협력을 종합적으로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한국·러시아 양국 정부는 7일 서울 '제17차 한국·러시아 경제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열고 앞서 한국이 제안한 '9개 다리' 협력사업을 구체화하고 종합적인 극동 협력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고 기획재정부가 밝혔습니다.
9개의 다리는 가스, 철도, 항만, 전력, 북극 항로, 조선, 산업단지, 농업, 수산업 등 9개 분야에서 한국과 러시아가 협력하는 구상이며 작년 9월 러시아에서 열린 동방경제포럼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했습니다.
양국 정부는 회의에서 한국 기업의 극동 진출 확대를 위해 적극적으로 사업을 발굴하고 금융 지원 가능성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또 농업 비즈니스 대화를 정례화하고 수산 물류가공 복합단지 건설 사업의 진척을 도모하는 등 양국 간 농수산 협력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아울러 한국은 극동지역의 공항 기반시설 개선사업 참여를 확대하며 한국·러시아 양국 철도공사의 협력도 강화하기로 의견을 모았습니다.
혁신성장 분야의 협력 방안도 논의됐습니다.
한국과 러시아의 공동 혁신플랫폼을 구축하고 스타트업 포럼을 개최하는 등 혁신 기반을 공유·확대하며, 양국 과학연구기관이 공동 연구나 인력 교류를 통해 정보통신기술 분야 등에서 4차 산업혁명에 함께 대응하기로 했습니다.
양국은 플랜트, 산업기술, 북극 공동 연구, 연해주 산업단지 조성 등에서도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극동지역 등에 원격의료 시스템을 구축하고 의료인 교류를 활성화기로 했습니다.
러시아 정부는 한국 의료기관의 러시아 진출을 위해 협조할 방침입니다.
문화·체육·관광 분야에서는 양국의 경험과 정보를 교환하고 양해 각서를 체결해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러시아와의 각종 경제협력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북한의 참여가 필요하다는 의사를 표명했습니다.
한국 수석대표인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북한이 참여해야만 비로소 한반도와 대륙의 공동 번영이 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회의는 이달 러시아 월드컵 기간에 현지에서 열릴 문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의제 조율도 함께 했습니다.
양국 정상회담에서 협력 방안이 더욱 구체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Photo : YONHAP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