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수역' 논의 본격화..."군사긴장 완화조치는 서해부터"

북한군의 해안포 철수가 현실화 된다면 서해상의 군사적 충돌 가능성이 크게 줄어들면서 남북 정상이 판문점 선언에서 합의한 서해 평화수역 구상도 본격화 될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14일 남북은 군 통신선을 복원키로 하면서 지난 2004년 6월4일 장성급 회담 합의를 준수하자는 내용도 이번 합의문에 담았습니다.
2004년 합의문에는 서해 해상에서 우발적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들이 비교적 상세히 규정돼 있습니다.
북측 수석대표는 14년전이나 지금이나 같은 안익산 단장으로, 누구보다 관련 합의내용과 맥락을 잘 아는 인물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만큼 남북 정상의 판문점 선언에 이어, 이번 장성급 회담에서 한발 더 나아가 실제적 위협수단 제거 문제가 의제로 회담테이블에 올랐다는 것은 서해를 평화수역으로 만들기 위한 구체적인 논의가 본격화됐음을 의미합니다.
아직 갈 길은 멀지만 꽃게잡이철은 물론 우발적 충돌때마다 가슴을 졸여온 어민들과 지역민들에겐 다소 숨통이 트일 전망입니다.
다만 북한도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요구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구체적인 합의까지는 넘어야할 산이 많아보입니다.
특히 공동어로수역을 조성하는 문제에 있어 남북간 인식차가 여전한 만큼, 서해에서 시작된 군사적 긴장완화 논의가 휴전선 전역으로 확산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Photo : KBS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