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협 끝나지않아"…'북한 핵은폐 추구' 보도에 미국내 우려 제기

북미정상회담 이후 북미가 후속협상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북한이 핵탄두·핵시설 은폐를 추구하고 있고 농축 우라늄 생산을 늘리고 있다는 미 정보당국발 보도에 대해 미국 내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는 지난달 30일 미 국방정보국이 최근 보고서에서 6·12 북미정상회담에서의 '완전한 비핵화' 합의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핵탄두와 주요 비밀 핵시설을 은폐하려는 의도를 품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DIA는 북한이 미국을 속이고 핵탄두와 미사일, 핵 개발 관련 시설의 개수를 줄이려는 방법을 찾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미 NBC 방송도 지난달 29일 미국의 정보기관들은 북한이 최근 수 개월간 여러 곳의 비밀 장소에서 농축 우라늄 생산을 늘리고 있는 것으로 믿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 같은 보도에 대해 공화당 수전 콜린스(메인) 상원의원은 1일 CNN방송의 '스테이트 오브 더 유니언'에 출연해 "매우 걱정스러운 보도"라면서 "북한은 역대 (미국) 정부와 해온 합의를 속여온 오랜 전력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콜린스 의원은 "북한을 비핵화로 이끌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 대화하는 것을 지지한다"면서도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신뢰할만한 검증이 없다면 북한이 또다시 우리를 속이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할 수 없어, (북핵) 위협이 끝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대북 강경파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북 정책을 강력히 지지해온 린지 그레이엄 공화당 상원의원은 NBC방송의 '밋 더 프레스'에 출연해 "그것(보도)이 사실이라면 그들(북한)은 말과 행동이 다른 것"이라면서 "아무도 놀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보좌관은 CBS 방송의 '페이스 더 네이션'과의 인터뷰에서 WP 보도 내용에 대해서는 정보사항에 대해 언급하지 않겠다며 구체적 답변을 피했습니다.
[Photo : KBS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