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3·1운동 100주년, 남북 공동 기념사업 추진"

문재인 대통령이 내년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을 남북한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제안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3일 서울역에서 개최된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 출범식 격려사를 통해 지난 4월 김정은 위원장과 3·1운동 100주년 남북공동 기념사업 추진을 논의했고 판문점 선언에 그 취지를 담았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판문점 선언은 실제 남과 북에 다 같이 의의가 있는 날들을 계기로 각계각층이 참가하는 민족공동행사를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문 대통령은 70년을 이어온 남북분단과 적대가 독립운동의 역사도 갈라놨다며 남과 북이 독립운동의 역사를 함께 공유하게 된다면 서로의 마음도 더 가까워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남과 북이 독립운동의 역사를 함께 공유하게 된다면 서로의 마음도 더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라며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에서 남북이 공동으로 할 수 있는 사업까지 구상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3·1운동으로 분출된 민족의 역량이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100년 전 선조들은 일제의 불의와 폭력에 맞선 것은 물론 성별과 빈부의 차별, 소수의 특권과 기득권, 불공정과 불평등을 청산하고자 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임시정부가 대한민국이라는 국호와 함께 모두가 자유롭고 평등한 민주공화국을 국체로 선언한 것은 그 시기를 생각해보면 참으로 놀라운 일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왕정과 식민지를 뛰어넘어 민주공화국을 탄생시킨 선조들의 고귀한 정신은 100년 동안 잠들지 않았고 촛불 혁명은 3·1운동 정신을 이은 명예로운 시민혁명이라고 규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에게는 선조들의 위대한 유산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어 미래 세대에게 물려줄 책무가 있다며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일이 정의롭고 공정한 나라의 토대가 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구체적으로 정부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념관 건립위원회를 출범시키고 중국 충칭의 광복군 총사령부와 일제가 훼손했던 이상룡 선생의 본가 복원을 추진 중인 것, 연해주 독립운동의 대부 최재형 선생의 기념관이 곧 개관할 예정인 사실 등을 그 예로 들었습니다.
또, 여성 독립운동가와 의병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투옥 여부와 상관없이 독립운동 사실이 확인되면 포상을 추진할 수 있도록 독립유공자 심사기준을 전면 개선하는 등 모든 애국지사와 독립유공자 후손들에게 국가의 도리를 다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3일 출범한 위원회 구성에 대해 문 대통령은 위원 모두의 삶에서 대한민국 100년의 역사를 본다며 독립운동가의 후손, 민주열사 유가족, 청계피복노조 여성 노동운동가와 파독 간호사, 노조와 기업인 대표를 비롯한 88분이 함께 해줬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여성 민간위원의 비율이 절반을 넘은 것도 정부 위원회 최초라며 모범이 되도록 더 수고해 달라고 격려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출범식 장소인 옛 서울역사를 언급하며 우리 역사의 주요 무대였고 대륙으로 삶을 확장하는 출발지였다며 유관순 열사와 이화학당 학생들의 만세 시위, 고종의 특명을 받은 이준 선생의 헤이그행, 그리고 손기정 선수가 베를린 향했던 사례 등을 언급했습니다.
그러면서 이곳에서 열리는 출범식이 새로운 100년을 알리는 기적 소리와 함께 지난 100년을 기념하는 힘찬 출발이 되기를 기원한다고 덧붙였습니다.
[Photo : KBS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