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반도 A to Z

클로즈업 북한

북한의 산림

2019-04-04

© YONHAP News

4월 5일은 식목일이다. 한국은 나무를 심는 ‘식목일’을 통해 6.25 전쟁으로 황폐해졌던 국토를 푸르게 만들었다. 북한에도 나무를 심는 날이 있을까요? 

데일리NK, 강미진 북한팀장과 북한의 산림을 조명해본다. 


3월 2일 식수절(植樹節)

북한에도 한국의 식목일에 해당하는 ‘식수절(植樹節)’이 있다. 북한의 식수절은 4월 6일이었지만, 1999년부터 3월 2일로 변경됐다. 김일성 주석이 1946년 3월 2일, 평양 모란봉에 올라 산림조성 구상을 제시한 날을 기념한 것이다. 이후, 북한은 ‘식수절’이 되면 대대적인 식목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도 280여만 그루의 나무를 심었다’고 북한 노동신문은 밝혔다. 


지역별로 필요한 나무 분배 

북한은 국토환경관리부 산하 기관에서 지역별로 필요한 나무를 분배한다. 그러면 주민들은 할당된 나무를 심는다. 해마다 주민들을 동원해서 대대적인 나무심기를 하지만 북한의 산림은 황폐하다. 통일부 자료에 따르면 과거 북한의 산림면적은 전 국토의 73%에 해당하는 899만㏊였다. 하지만 1990년, 실제 산림은 820만㏊로 줄었고, 2015년에는 503만㏊로 감소했다는 게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추산이다. 숲이 과거보다 44%. 면적으로는 400만㏊ 가까이 사라진 셈이다. 


경제난으로 북한 산림은 황폐화 

‘고난의 행군’으로 불리는 시기,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나무를 베어야 했다. 북한의 농촌 가정은 연료 배급이 줄자 가까운 산부터 먼 산까지 차례로 나무가 베었고, 나무를 벤 자리는 방치되거나 ‘뙈기밭’으로 불리는 비탈밭으로 개간됐다. 

그렇게 800만 명이 넘는 농촌 인구가 한 세대 가까이 이런 삶을 지속하면서 울창했던 산림은 빠르게 사라졌다. 산림의 황폐화는 고스란히 자연재해로 이어졌다. 2016년, 태풍의 영향으로 함경북도에 대홍수가 난 것처럼 북한은 해마다 홍수와 가뭄이 반복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김정은 위원장은 집권 이후, 산림녹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김정은 위원장 체제, 산림 복구 강조 

2015년 신년사에서 김정은 위원장은 "앞으로 10년 안에 모든 산들을 푸른 숲이 설레는 보물산, 황금산으로 바꾸라"고 말했다. 그 해, 2015년 식수절을 맞아 직접, 나무심기에 나선 김정은 위원장은 산림복구를 위한 세부 계획을 수립했다. 2017년까지 묘목 생산량을 2배로 늘리고, 2022년까지는 집중적으로 조림에 나서기로 한 것이다. 2024년까지는 상대적으로 산림 조성이 부족한 곳을 조사해서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북한의 최고 명문으로 알려진 김일성종합대학에도 '산림과학대학'이 신설됐다. 3개월도 되지 않은 짧은 기간에 산림과학부문, 30여 개 과목이 개설될 정도로 산림복구를 강조하고 있는 북한은 국제 사회에도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해 4·27 남북정상회담 이후 문재인 정부가 가장 먼저 공식화한 남북 교류 사업은 산림 협력이었다. 지난 해 9월, 평양 공동선언에서도 남과 북은 산림 분야 협력에 합의했다,


남북 산림협력 시대 준비해야 

6·25전쟁 이후 유엔은 폐허가 된 한국 국토를 보고 "회생 불가능하다"고 단정 지었다. 하지만 적극적인 산림녹화 정책으로 푸르름을 회복한 한국은 남북 산림협력 시대를 준비하고 있다. 강원도 고성에 평화 양묘장을 준공하고, 연간 최대 100만 그루의 묘목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한반도 비핵화의 진전과 함께 산림 분야의 합의도 성과를 이뤄서 푸르른 백두대간을 마주할 날을 기대해 본다.